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세션1 '수소중심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글로벌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세션1 '수소중심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글로벌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정부는 앞으로 기술표준 전문가들의 표준화 활동과 국제협력을 적극 지지할 것입니다. 산·학·연 관계자도 우리나라가 국제표준을 주도해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시길 바랍니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1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제1회 수소경제 국제표준포럼’에서 축사를 맡았다.


해당 포럼은 국회수소경제포럼이 주최하고 머니투데이·국가기술표준원·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공동 주관으로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 콘퍼런스 제1세션을 통해 진행됐다.

이날 이 원장은 “글로벌 컨설팅업체 매킨지는 2050년 수소경제가 연간 2조5000억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며 “무한 자원인 수소가 경제성장은 물론 친환경에너지 원천이 되는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가능했던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세계가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탄소경제 사회에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수소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며 “수소경제 사회가 구현되려면 세계 어디서든 안전하고 호환성 있는 기술서비스가 활용되도록 국제표준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리나라가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 활동과 협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산업계, 학계, 관련 협회 등이 함께 드론과 건설기계용 연료전지, 수소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통해 국제표준을 제안하는 활동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수소경제의 전세계 확산을 위해 기술표준 분야에서 국제적 공조·협력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수소엑스포는 민간기업, 공기업, 지방자치단체의 연구성과물을 통해 수소에 대한 지식이 없는 청소년부터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소산업 정보를 알리는 전시회다. 수소엑스포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하거나 DDP 현장을 방문하면 19~21일에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