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람인
/사진=사람인
취업 준비생 대부분은 실제와 다르게 자신을 소개하는 ‘자소설(자기소개서+소설)’ 작성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사람인이 구직자 17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6.4%가 자소설을 작성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작성한 전체 자기소개서 중 35.3%가 ‘자소설’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이는 작성하는 자기소개서 3편 중 1편은 ‘자소설’이라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10%’(26.1%), ‘20%’(20.1%), ‘30%’(16.3%), ‘50%’(10.6%), ‘40%’(7.9%), ‘100%’(5.9%) 등의 순이었다.

자소설을 작성하는 이유는 ‘합격을 위해 좀 더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55.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한 번의 기회라도 간절한 취준생의 입장에서 서류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서 거짓이나 과장을 하게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계속해서 취준생들은 ‘질문 의도에 맞는 스펙이나 경험이 없어서’(27.6%), ‘사실대로 쓰면 자꾸 떨어져서’(18.3%), ‘지원하는 직무·기업과 연관성을 찾지 못해서’(18.3%), ‘다들 자소설을 써 안 쓰면 나만 손해라서’(11.5%) 등을 자소설 작성의 이유로 들었다.

그렇다면 실제 자소설을 작성해 기업에 ‘입사지원’한 결과는 어떨까. 응답자들은 ‘자소설’을 작성해 입사지원했을 때 서류 합격률을 47.6% 정도로 파악하고 있었다.


반면 솔직하게 자기소개서를 작성했을 때의 합격률은 35.8% 수준으로 집계 돼 11.8%포인트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소설로 입사지원한 구직자 중 33.7%는 면접 때 거짓이나 과장해 쓴 부분에 대해 질문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면접을 거치면서 해당 부분에 대한 질문을 받을 수 있어 과도한 거짓이나 과장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취업이 간절하다 보니 많은 지원자들 중 돋보이고 싶은 욕심에 자기소개서에 거짓이나 과장을 담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서류전형이 취업의 최종관문이 아닌 만큼 면접에서 진실하지 못한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