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석, 이마트 싹 뜯어고친다… 삐에로쑈핑 전점 폐점
김경은 기자
3,934
공유하기
![]() |
강희석 이마트 신임 대표. /사진=머니S DB |
강희석 이마트 대표가 취임 한달 만에 칼을 빼들었다. 실적이 부진한 기존점은 과감히 리뉴얼하고 전문점 사업은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등 본격적인 체질 개선에 돌입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야심차게 추진해온 만물잡화점 '삐에로쑈핑'은 문을 닫는다.
이마트는 기존 점포 30% 이상을 리뉴얼하고 삐에로쑈핑·부츠·일렉트로마트 등 전문점 사업을 수익성 중심으로 재편한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사상 첫 분기 적자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던 만큼 구조조정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내년도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신세계 그룹 차원의 수익 중심 경영 효율화 기조에 맞춰 그룹 내 핵심 회사인 이마트가 이를 선제적으로 적극 실행하겠다는 의미다"라고 설명했다.
◆기존점 30% 이상 리뉴얼… 경쟁력 강화
기존점은 ‘고객 관점에서의 이마트’로 재탄생한다. 기존 점포의 30% 이상을 새롭게 구성해 ‘고객 지향적 상품·가격 제공’과 ‘고객이 오래 체류하고 싶은 매장’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월계점은 미래형 점포로 혁신한다. 핵심 경쟁력인 그로서리 MD와 식음브랜드를 강화하고 최신 트렌드에 맞는 테넌트를 적극 유치해 그로서리와 몰(Mall)이 결합된 복합모델 형태로 테스트 개발할 예정이다. 타 점포들 역시 그로서리 MD를 대폭 개선하고 일렉트로마트 등 집객력 있는 전문점을 도입한다.
앞서 이마트는 이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10월 조직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기존 상품본부를 식품본부와 비 식품본부로 늘렸다. 또한 그로서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식품 본부 내 신선담당을 신선1담당과 2담당으로 분리해 전문성을 강화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기존 ‘노브랜드’는 물론, ‘에브리데이 국민가격’, ‘쓱데이’ 등 초저가 전략을 통해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 매출과 집객 측면에서 큰 효과를 얻었다”며 “상시 초저가에 힘을 더하는 한편, 선택과 집중을 통해 기존 점포와 전문점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해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으려 한다”고 전했다.
◆전문점 사업 수익성 중심 재편… 선택과 집중
이마트는 일부 전문점은 영업을 종료하고 점포별로도 효율이 낮은 곳은 점차적으로 폐점할 계획이다. 전문점 사업의 적자 규모는 연간 약 900억원으로 지금이 수익성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삐에로쑈핑 7개점은 점포별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업을 종료한다. 삐에로쑈핑은 2018년 처음 문을 열었으며 현재 코엑스점, 두타몰점 등 전국에 7개점을 운영 중이다.
부츠도 점포별 수익성 분석을 통해 효율 경영을 극대화한다. 지난 7월 18개 점포를 폐점한 부츠는 실적이 부진한 점포의 영업 효율 개선에 매진할 계획이다.
신규 점포가 증가하고 있는 일렉트로마트는 지난 18일 죽전점과 상권이 겹치는 판교점을 폐점한 데 이어 대구점도 내년 초 영업 종료를 검토하고 있다.
전문점은 높은 임차료 등으로 수익확보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과감한 사업조정이 이마트의 경영효율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성장성 높은 전문점, 해외 수출 강화
이마트는 사업성이 높은 전문점의 상품 및 브랜드는 해외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노브랜드 프랜차이즈의 경우 지난 11월 필리핀 마닐라 1호점 오픈에 이어 필리핀 2호점을 이번 달 ‘산 페드로’ 지역의 ‘로빈스 사우스 갤러리아 몰’에 연 뒤 내년에도 8개의 필리핀 점포를 추가로 연다.
2015년 베트남 등 4개국에 처음 상품 수출을 시작한 노브랜드는 현재 수출국을 20여개 국가로 확대했으며 수출액도 2015년 약 20억원에서 올해 70억원 수준으로 250%가량 증가했다.
노브랜드가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자 이마트는 지난 11월 프랜차이즈 형태로 필리핀에 노브랜드 전문점 1호점을 마닐라에 오픈하기도 했다. 필리핀 사업이 선전하자 이마트는 현지에서 인기있는 노브랜드 상품의 2차 수출 물량을 1차에 비해 4배가량 늘린 상태다.
화장품 전문점인 센텐스도 내년 추가로 2개의 매장을 필리핀에 열 계획이다. 지난해 사우디 최대 유통그룹과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여 센텐스 브랜드를 수출한 이마트는 현재 사우디에 2개, 필리핀에 1개 등 모두 3개의 해외 프랜차이즈 매장을 운영 중이다.
사업성이 높은 전문점인 일렉트로마트는 올해만 13개 점포를 오픈한 데 이어 내년에도 10여개 점포를 추가로 열 계획이다. 일렉트로마트는 2015년 킨텍스 이마트타운에 첫 점포를 연 이후 ‘체험형 가전매장’으로 인기를 끌며 현재 44개까지 점포가 증가했다. 이마트는 20~30대 젊은 고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일렉트로마트를 이마트 내 ‘키 테넌트’로 육성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번 사업 재편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이마트의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