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한국산 팽이버섯 먹고 죽은 이유는…
정소영 기자
1,648
공유하기
![]()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최근 미국에서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4명이 숨진 사건에 대해 "미국은 샐러드 형태로 바로 섭취해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최근 미국에서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4명이 숨진 사건에 대해 "미국은 샐러드 형태로 바로 섭취해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13일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된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4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발표와 관련해 설명자료를 내고 미국에 수출한 업체의 팽이버섯 시료를 채취해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전날(12일) 미국 NBC 방송 등에 따르면 CDC는 미국에서 판매된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17개 주에서 36명이 식중독을 일으키고 4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임신부 6명은 감염 증세를 일으켰고 이중 2명은 유산했다.
정부는 그동안 국내 생산·유통 단계에서 생식 채소류에 대해 리스테리아균 등 식중독균을 검사해 문제가 있는 경우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회수·폐기 조치를 취하는 등 철저히 관리해왔다. 하지만 이는 별도 조리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신선편의식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어서 일반 농산물인 팽이버섯에는 이러한 별도 기준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농식품부는 팽이버섯을 미국으로 수출한 업체 4곳에 대해 시료 채취 및 검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업체들 외에도 팽이버섯 재배업체 17개소에 대해 신선편의식품 생산 여부를 조사 중이다. 수거·검사를 진행해 부적합 판정땐 회수·폐기하기로 했다.
문제가 된 업체들은 모두 신선편의식품은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돼 미국에서 팽이버섯을 섭취한 이들이 신선편의식품이 아닌 일반농산물을 날 것으로 섭취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농식품부는 "리스테리아균은 70℃ 이상에서 3~10분 정도 가열하면 사멸된다"며 "특히 냉장온도(0~10℃)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므로 냉장고 음식 보관 시 보관음식의 침출액이 넘치지 않게 전용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