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츠IT] ‘이재명의 공공 배달앱’ 바라보는 두가지 시선
박흥순 기자
15,550
공유하기
![]() |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6일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공공 배달앱의 제작을 확정했다. /사진=뉴시스 |
이 지사는 지난 6일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공공 배달앱의 제작을 확정했다. 그의 취지에는 상당히 많은 시민들이 동의했지만 ‘이재명 표 공공 배달앱’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도 있다
소상공인·시민 “공공 배달앱 환영”
공공 배달앱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요와 공급이 꾸준하게 유지돼야한다. 사용자와 소상공인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배민라이더스에 배달 오토바이가 줄지어 서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 형제들은 이달 1일 광고수수료를 기존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변경해 비난을 받았다. /사진=뉴스1 |
경기도는 전북 군산시에서 운영하는 ‘배달의명수’를 모티브로 배달앱을 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도 직접 “군산시의 배달앱과 협력 논의도 마쳤다”고 언급했다.
배달의 명수는 지난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군산시는 지역자본의 역외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앱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운영에 세금이 투입되지만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민들의 반응도 좋다.
IT·스타트업 “운영 어려워… 직접 개발 멈춰달라”
하지만 IT업계는 공공 배달앱에 회의적이다. 앱을 개발하더라도 서비스를 유지·관리하기 어려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
전북 군산시에서 운영 중인 공공 배달앱 ‘배달의 명수’ /사진=배달의 명수 캡처 |
IT업계 관계자는 “앱을 개발하는 것보다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힘들다”며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변수도 생기는데 경기도가 이를 어떻게 유지할 지가 전체적인 앱의 성공을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공 배달앱을 유지하는 전담 팀을 두거나 외부 업체에 운영을 맡기는 것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예 공공기관이 해당 앱을 제작하는 것 자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배달의민족은 스타트업으로 시작했다.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공공기관이 앱 생태계에 뛰어들면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며 “직접 앱을 개발하기보다 제도를 개선하고 독과점의 폐해를 해소하는데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