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인사들 "윤미향 사건, 근거없는 비판·매도 삼가달라"
안경달 기자
공유하기
![]() |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열린 제1440차 일본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손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뉴스1 |
'정대협을 만든 사람들' 측은 20일 오후 열린 1440차 수요집회에서 "잘못된 점이 있다면 바로잡아야 하지만 근거없는 비판과 매도는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라며 "근거없는 비판과 매도를 삼가달라"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자신들을 "1990년 정대협 설립을 준비하고 이후 대표, 실행위원으로 힘을 모은 사람들"이라고 소개했다. 입장문에는 윤정옥·이효재 정대협 초대 대표, 대표직을 거쳐간 김윤옥 전 대표, 지은희 전 여성부 장관, 김혜원 1기 활동가 등 12명이 이름을 올렸다.
'정대협을 만든 사람들'은 입장문에서 "할머니들은 단지 수동적인 피해자로 머물지 않고 활발한 인권운동가가 됐다"며 "재정이 피해자 생활지원에만 쓰이지 않았다는 비판은 오히려 많은 할머니들을 서운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도 아프리카, 아시아의 분쟁지역 여성 피해자들을 위해 일하고 있고 아픔을 기록해 전시하는 일도 함께하고 있다"며 "전세계의 전쟁과 여성인권 침해가 끊이지 않는다면 피해자들이 깊은 침묵의 터널을 뚫고 우리 앞에 나선 보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른 보상금을 윤미향 전 이사장이 받지 못하게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할머니들에게 돈을 받지 말라고 하는 것은 원칙에 어긋난 행패인데 어떻게 하느냐"며 "오히려 일본 정부가 지원금 수령을 둘러싸고 피해자 간 긴장과 반목을 일으키려는 2차 가해를 저지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계 부정 의혹 역시 "최근에야 형편이 나아졌다고 해도 결코 방만 운영을 할 수 없다"며 "한 단체가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활동하면서 모든 일을 감당하는 현재도 상근 활동가는 8명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부족한 인원으로 빈틈이 생길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회계 부정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확신한다"며 "많은 시민의 지지와 응원으로 이어온 단체와 활동이기 때문에 외부 회계기관으로부터 투명한 검증을 받기로 했고 신속하게 절차가 진행될테니 부디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