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프랜차이즈 외식업 3년내 브랜드 10곳중 2곳은 사라져
강동완 기자
2,393
공유하기
서울시, 2019년 프랜차이즈 분석결과 발표…가맹사업 정보공개서 활용
‘가맹본부’ 1,900개, ‘브랜드’ 2,467개, ‘가맹점’ 16만 3,338개, 외식업 비중 최다
서울시는 비기데이터담당관에서 분석한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등록현황에 따르면, 브랜드 평균 생존율은 개업 1년 후에는 93.4%였으나 3년이 지나면 79.4%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체 가맹본부 2곳 중 1곳은 가맹점이 10개미만인 소규모였다고 밝혔다.
◆ ‘가맹본부’ 1,900개, ‘브랜드’ 2,467개, ‘가맹점’ 16만 3338개, 외식업 비중 최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19년 말 기준 서울시에 등록된 가맹본부는 총 1,900개며, 브랜드는 2,467개, 가맹점은 163,338개(전국분포)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가맹본부(65.6%), 브랜드(67%), 가맹점 수(36.4%) 전 분야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도소매업’은 본부와 브랜드 수에 비해 가맹점수가 많았는데 이는 도소매업종의 대기업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서울시 자료 |
전국 데이터(가맹본부 5,175개, 브랜드 6,353개, 가맹점수 254,040개)와 비교해보면, 가맹본부의 36.7%, 브랜드 38.8%, 그 소속 가맹점의 64.3%가 서울시에 등록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증가추세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지난 3년간 ‘서비스업(교육, 이미용, 숙박, 약국 등)’, ‘외식업(한식, 프랜차이즈 등)’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은 소폭 증가 추세였다. ‘도소매업(편의점, 화장품 등)’은 가맹본부(128개(’17)→113개(’19))와 브랜드(143개(’17)→125개(’19))는 감소했지만 가맹점수(41,995개(’17)→48,378개(’19))는 늘었다.
‘가맹본부’에 대한 분석결과로 본부 소재지는 5곳 중 1곳이 강남구(21.1%, 400개)에 위치하고 있었고, ▴서초(9.9%, 188개) ▴마포(8.6%, 164개) ▴송파(7.8%, 148개) ▴영등포(5.1%, 97개)가 뒤를 이었다. 또 대부분(85.7%)의 가맹본부는 법인사업자였다.
지난 ’19년 기준 서울시 등록 가맹본부 중에서는 ㈜더본코리아가 가장 많은 22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가맹점 수도 1,341개로 가장 많았다.
‘가맹본부’에 대한 분석결과로 본부 소재지는 5곳 중 1곳이 강남구(21.1%, 400개)에 위치하고 있었고, ▴서초(9.9%, 188개) ▴마포(8.6%, 164개) ▴송파(7.8%, 148개) ▴영등포(5.1%, 97개)가 뒤를 이었다. 또 대부분(85.7%)의 가맹본부는 법인사업자였다.
지난 ’19년 기준 서울시 등록 가맹본부 중에서는 ㈜더본코리아가 가장 많은 22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가맹점 수도 1,341개로 가장 많았다.
◆ 도소매업 생존율 높고 외식업은 3년 후 10곳 중 2곳 이상 폐업
브랜드의 생존율을 살펴보면, 개업 후 1년차 평균은 93.4%였으며, 2년차 82%, 3년차 79.4%로 줄어드는 추세다. 업종별 생존율은 ▴도소매업은 (1년차)94.1%→(3년차)91.3%로 높은 편이고 ▴외식업은 (1년차)93.5%→(3년차)77.7%로 외식업종의 경우 3년이 지나면 10곳 중 2곳 이상은 폐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1년차)93.1%→(3년차)82.2%였다.브랜드의 직영점 운영 여부에 따라서도 생존률이 달라졌는데, ‘직영점 운영 브랜드’는 (1년차)95.9%→(3년차)80.7%, ‘미운영브랜드’는 (1년차)93.7%→78.9%로 소폭 차이가 났다.
![]() |
서울시 자료 |
또 서울시 등록된 2,467개 브랜드 중 직영점이 없는 곳이 총 1,348개로 과반을 넘었고, 특히 지난해 신규 등록한 345개 브랜드는 74%에 달하는 257개가 직영점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과 ‘외식업’은 25개 이상의 직영점을 보유한 브랜드가 각 1.5%, 1.2%에 불과했으나 도소매업은 26.4%로 높은 편이었다.
◆ 가맹점 100개 이상 보유 브랜드 10% 남짓, 2곳 중 1곳은 가맹점 10개 미만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보유한 브랜드는 전체 2,467개 브랜드 중 10%에 달하는 246개였다.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는 전체의 58.5%에 달하는 1,442개였다.
가맹점 100개 이상 운영 브랜드 중 도소매업은 125개 중 29개(23.2%)로 가장 많았으며, 서비스업은 13.7%, 외식업은 7.4%였다.
반면,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는 외식업이 전체 중 63.4%로 가장 많았으며, 도소매업(48.8%), 서비스업(48.4%)이 뒤를 이었다.
브랜드별 가맹점 순증가도 조사했는데, 그 결과 전반적으로 감소추세(’17: 4.85개 → ’18: 4.59개 → ’19: 3.29개)를 보였다. 폐점율(’17: 20.7% → ’18: 18.9% → ’19: 22.3%)은 등락을 보였다,
브랜드별 가맹점 순증가도 조사했는데, 그 결과 전반적으로 감소추세(’17: 4.85개 → ’18: 4.59개 → ’19: 3.29개)를 보였다. 폐점율(’17: 20.7% → ’18: 18.9% → ’19: 22.3%)은 등락을 보였다,
◆ 평균 창업비용 1억 3200여 만원, 가맹비는 10%내외 인테리어 등 기타비용 비중 높아
가맹점 평균 창업비용은 1억 324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중 가맹비는 1137만원, 보증금 480만원, 교육비 338만원이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인테리어, 설비비용 등 기타비용으로 1억1286만원이었다.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1억 9,462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도소매업 1억 6,665만원 ▴외식업 1억 397만원이었다.
지난해 가맹사업정보공개서 항목으로 추가된 차액가맹금, 이른바 물류마진에 대해선 전체 2,467개 브랜드 중 30.5%에 해당하는 752개 브랜드만이 ‘있다’라고 답했다. 차액가맹금은 가맹본부가 구입한 가격과 가맹점사업주에 공급하는 상품, 원재료, 부재료 등의 가격 차액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노동민생정책관과의 협업 을 통해 부서간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서울시 프랜차이즈 사업 현황을 파악하게 되었다”며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민하는 시민들에 게 객관적인 정보제공과 함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성만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은 “이번 ‘프랜차이즈 분석’을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서울시내 프랜차이즈 산업 분포 및 통계, 세부 항목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산업동향을 파악하고 발표 하겠다”며 “믿을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예비 프랜차이즈 창업자들이 새로운 도전과 인생을 시작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