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매장 이용금지·식당 영업제한… "죽으란 거죠?"
김경은 기자
2,849
공유하기
![]() |
정부가 음식점과 커피전문점의 영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방역 강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외식업계와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오후 서울 명동거리의 한 매장에 코로나19로 인한 임시휴업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
정부가 음식점과 커피전문점의 영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방역 조치 강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외식업계와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오는 30일 0시부터 9월6일 자정까지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도권 소재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제과점에 대해서는 밤 9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포장·배달만 허용한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에 대해서는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매장 내 음식·음료 섭취를 금지하고 포장·배달만 허용하는 핵심 방역수칙을 의무화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식업계에선 더 큰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 한 관계자는 "이미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면서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는데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요즘 밤 9시 이후로는 손님이 많이 없어 영향을 덜 받는다"면서도 "가맹점주들이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이어 "그나마 대형 프랜차이즈는 코로나19 이후 포장과 배달을 강화하며 대응하고 있다"면서 "영세 상인들의 피해가 심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자영업자들은 이번 발표에 한숨을 내쉬었다. 온라인 자영업자 커뮤니티에는 "올게 왔다" "배달 안하는 사람 죽어난다" "밤에 문을 여는 업장은 어쩌란 말이냐" "한팀, 두팀 받으면서 겨우 버텼는데 죽으라는 거죠"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사실상 매장 이용이 불가해진 커피전문점업계도 타격이 예상된다. 업계는 매장 내 테이블 수를 줄이는 등 관련 조치를 이어왔지만 최근 스타벅스 파주 야당역점에서 66명의 집단감염이 발생하는 등 사태가 악화되며 이미지와 매출 타격을 입은 상황.
한 커피전문점 관계자는 "매장 이용 비중이 적지 않은 만큼 관련한 대책 마련을 하고 있다"며 "고객과 직원의 안전을 위해 방역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