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생명 노조가 중앙노동위원회의 쟁의조정신청했다. 사진은 미래에셋생명 여의도 사옥./사진=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 노조가 중앙노동위원회의 쟁의조정신청했다. 사진은 미래에셋생명 여의도 사옥./사진=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 노조가 사측과 임금 및 단체교섭에서 합의하지 못 하자 파업 권한을 포함한 쟁의권 확보에 나섰다.  

30일 미래에셋생명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생명 노조는 지난 28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향후 합법적인 파업도 가능해져 경우에 따라 노사 대립은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전개될 수도 있다. 중앙노동위원회는 내년 1월 7일까지 노사 입장을 중재하다가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노조가 파업권을 갖게 된다. 노조가 합법적인 파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래에셋생명은 7월 첫 본교섭을 시작으로 10여 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지만, 임금 및 단체협상이 결렬된 상태다. 

노조의 고용안정협약 체결 요구에 대해 사측이 구두로만 합의하겠다고 대응하면서 노사갈등은 파국을 향해 치닫고 있다. 사측이 제판분리는 직원의 이동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과 달리 고용안정협약은 체결하지 않고 있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미래에셋생명은 보험상품 개발과 판매조직을 분리하는 제판(제조·판매) 분리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미래에셋생명은 내년 3월까지 자회사형 GA를 설립해 자사 전속설계사 3300여명을 이동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미래에셋생명은 지난 15일 임시 이사회를 통해 하만덕 미래에셋생명 대표이사 부회장을 자회사형 GA인 미래에셋금융서비스 대표이사로 선임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각자 대표 체제였던 미래에셋생명은 변재상 대표이사 사장 단독 체제로 전환됐다. 


이처럼 사측이 제판분리를 공식화하면서 노조는 전속 설계사 조직을 지원하는 140여명의 영업 관리 정규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한 협약서 체결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40여개의 지점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영업 관리 직원에 대한 고용안정 이행을 서면으로 작성해달라는 것이다. 


미래에셋생명 노조는 직원의 고용 불안이 현실화될 경우 투쟁 수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사무금융노조 미래에셋생명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GA 이동을 희망하지 않는 직원들을 보호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있지 않다”며 “판매조직의 자회사 이동은 일자리를 흔들고 고용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생명 관계자는 "직원들의 고용안정은 이미 근로 기준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으며, 회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직원들의 의사에 반하는 이동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협약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다" 면서 "지속적으로 노조와 소통하면서 합의된 결과를 도출하도록 노력할 것"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