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출퇴근"…이기대 해상케이블카, 5년만에 재추진에 부산은행 지분참여
부산=김동기 기자
공유하기
![]() |
5년만에 재추진하는 이기대 해상케이블카/사진=부산블루코스트 |
해상관광케이블카 추진 민간사업자인 ㈜부산블루코스트는 11일 부산시에 해운대구 우동 동백유원지 일원과 남구 용호동 이기대를 잇는 해상케이블카 조성사업 제안서를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또 BNK금융 부산은행이 일정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참여한다.
특히 사업자 측은 “공적 기여 차원에서 관광 기능 외에 케이블카를 출퇴근 때 대중교통 수단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와 협의해 나가겠다”며 “단순한 관광시설물이 아닌 부산의 자랑, 나아가 대한민국 관광의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사업자측에 의하면 이 사업의 구간은 해운대~이기대 간 총 4.2km 규모로 목포해상케이블카(3.2km)보다 1km 더 긴 국내 해상케이블카로서는 가장 길다. 총 사업비 6091억 원은 부산블루코스트와 부산은행 등 전액 민간 투자로 조달될 방침이지만 부산시와의 협의 과정에서 시 산하 공기업 등의 참여 가능성은 열려있다.
이 사업은 지난 2016년 5월 제안서를 제출했지만 교통 및 환경, 공적기여 방안 등의 사유로 반려됐다. 이에 따라 사업자 측은 파격적인 공적기여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매년 케이블카 매출액의 3%를 다양한 방법으로 기부할 예정이다. 매년 약 30억원 가까운 규모로 이는 국내 다른 케이블카 공익기부금의 10~30배 규모이다.
부산 관광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양쪽 승강장 건물은 국제 건축공모를 통해 또 다른 관광자원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또 승강장 내에는 문화 및 예술전용 공적시설을 조성하고 매달 중증 장애인 무료 탑승 등을 포함한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의 날 운영, 지역주민 우선 취업, 이기대 야간경관조명 설치, 정류장 옥상 전망대 상시 개방 등을 제안했다.
교통 대책으로는 해운대 일대 주차난을 감안해 주차 면을 대폭 늘렸다. 5년 전에 비해 배 가량 늘어난 1972면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승강장 인근 도로 확장 등 다양한 교통 대책을 보완했다.
건설투자, 운영 및 탑승객의 관광소비 지출의 총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이하 30년간 운영 기준) 12조 3533억원, 부가가치효과 5조 9100억원, 취업유발효과 14만5933명 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돼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른 민간제안사업으로 추진되며 인허가 취득에 따른 행정절차와 공사 기간 등을 감안할 때 무난히 사업이 진행될 경우 2026년 말께 완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해 12월 부산 남구의회가 해상케이블카 유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부산시의회에서도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해상케이블카 건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또 전대미문의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최악의 경영난을 겪고 있는 부산관광협회와 숙박협회, 마이스협회 관계자 등도 한목소리로 해상케이블카의 조기 건설을 촉구해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