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서 잘나가는 초코파이·도시락·밀키스 괜찮나
한영선 기자
6,161
공유하기
![]() |
러시아 현지에 진출해 있는 국내 식품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러시아 현지 시장에 진열된 오리온 초코파이. /사진=오리온 |
러시아 현지에 진출한 국내 대표적인 식품 기업으로는 오리온, 팔도, 롯데칠성음료가 꼽힌다. 오리온은 초코파이, 팔도는 도시락, 롯데칠성은 밀키스로 각각 러시아 식품시장을 공략 중이다. 이외에도 롯데제과가 진출해 있다.
이들 기업들은 러시아 제재에 따른 후폭풍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오리온은 지난해 국민 간식이라 불리는 초코파이 인기에 힘입어 러시아 법인 매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170억원을 기록했다. 현지 제과시장 진출 이래 사상 처음으로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것이다.
오리온은 러시아 제재에 영향을 받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현재 러시아에서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는 3개월분 가량 확보돼 있다"며 "장기화에 대비해 핵심 원재료를 추가 확보 중이며 중국 법인을 통한 원재료 수입도 검토해 영향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팔도의 도시락은 러시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현지에서 국민 라면으로 자리매김했다. 팔도는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에 거점을 보유하고 있다.
팔도 관계자는 "거래하는 현지 은행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차단 리스트에서 제외됐다. 현재 현지 생산과 물류 차질은 없다"고 전했다.
롯데칠성음료는 밀키스를 국내에서 생산해 러시아에 수출하고 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주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거래 중인 러시아 극동지역의 은행은 스위프트 제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금융거래에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러시아 루블화 환율 추이, 파급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다. 파견 주재원 및 현지 직원들의 안전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면서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업계 전반적으로 수요 위축, 제품 가격 경쟁력 하락 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