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김주현 금융위원장/사진=여신금융협회
신임 김주현 금융위원장/사진=여신금융협회


윤석열 정부가 7일 초대 금융위원장에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을 지명했다. 정통 경제관료 출신인 김 내정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최상목 경제수석과 함께 윤석열 정부의 '경제 원팀'으로 호흡을 잘 맞춰 나갈 것으로 보인다.


김 내정자는 1958년생으로 중앙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서울대에서 경영학 대학원을 수료하고 미국 워싱턴대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받았다.

그는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한 후 재무부(기획재정부), 금융감독위원회, 금융위원회를 두루 거쳤다. 금융위원회에서는 금융정책국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김 내정자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금융정책국장을 지내면서 부채 관리에 힘썼고, 2011년 사무처장으로 저축은행 사태를 수습한 책임자다.

김 내정자는 지난 2012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지냈으며 2016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겼다가 2019년 6월부터는 제12대 여신금융협회장을 맡고 있다.


그는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행정고시 동기(25회)라는 인연이 있다. 평소 성품이 온화하고 진중하며 일처리가 꼼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제관료 뿐 아니라 업계에서도 경험을 쌓으면서 갖춘 균형감도 김 내정자의 강점으로 꼽힌다.

김 내정자의 최대 과제는 가계부채 관리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1900조원에 달한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 등 실수요자에겐 대출 문턱을 낮춰줘야 하는 양립하기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 한다. 약 2년간 미뤄온 '코로나 만기연장'의 출구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출 문턱을 낮춰주는 다소 양립하기 어려운 과제를 풀어야 한다. '코로나 금융지원'의 출구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금융당국 주도로 금융권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난 2020년 4월부터 대출 원리금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프로필 ▲1958년 ▲서울 ▲서울대 경제학과 ▲미국 워싱턴대 MBA ▲행정고시 25회 ▲금융위 금융정책국장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금융위 사무처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순천향대 금융보험학과 초빙교수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 ▲여신금융협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