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25일 총파업을 선포했다. 개선이 없을 시 내년 신학기 총파업을 예고했다. 사진은 지난 2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25일 총파업을 선포했다. 개선이 없을 시 내년 신학기 총파업을 예고했다. 사진은 지난 2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학교 급식과 돌봄교실을 담당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25일 하루 경고성 파업에 나선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전국여성노동조합이 참여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22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대회의는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오는 25일 전국 1만5000개 학교 10만 조합원이 일제히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며 "다음달에는 지역별 투쟁을 이어가고 교육청과 교육부, 국회 등이 화답하지 않으면 사상 최초로 내년 신학기 파업도 경고한다"고 밝혔다.

교육공무직본부와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오는 25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대로에서 집회를 열고 민주노총 공공부문 파업대회에 참가할 예정이다. 여성노동조합은 같은날 오후 2시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집회를 연다.


연대회의가 정부와 여당에 요구하는 것은 크게 ▲새로운 임금체계 마련 ▲지방 교육 재정 감축 시도 중단 ▲산업재해 문제 해결 대책 마련이다. 연대회의는 "시도교육청은 임금 교섭에서 근속 수당을 동결하는 등 사실상 실질임금 삭감 교섭안을 제시했다"며 "복리후생 지급 기준 동일 적용 등 임금체계 개편 요구는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파업 투쟁의 요구는 임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윤희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지방 교육 재정 감축 시도를 당장 중단하길 요구한다"며 "돌봄 등 양육환경을 개선하지 않고 학령인구 감소를 핑계로 유·초·중·고 재정을 줄이겠다는 것은 오히려 출생률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예산 축소와 구조조정은 교육복지와 비정규직부터 직접적인 피해가 나타날 것"이라며 "지방 교육재정 감축 시도를 학생 행복은 물론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지난 2018년 첫 폐암 산재 이후 5명의 학교급식 노동자가 세상을 떠났으며 수많은 동료가 폐암과 폐 질환으로 투병하고 있다"며 "공무직위원회에서 연대회의는 환기시설 개선과 배치기준 개선 등 종합대책 마련과 관련 예산 편성을 요구했으나 교육부는 예산 편성 계획이 없다고 답하며 무시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