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美 태양광 사업 통합 밸류체인 구축…3.2조원 투자
최유빈 기자
5,042
공유하기
|
한화솔루션이 북미 태양광 시장 선점을 위해 3조2000억원을 투자하고 미국 내 대규모 통합 생산 단지 조성에 나선다.
한화솔루션은 11일 서울 종로구 한화빌딩에서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태양광 사업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구영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대표는 "기초 소재부터 완제품까지 일관 생산이 가능한 북미 유일의 종합 태양광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다"며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 달튼과 카터스빌을 잇는 솔라 허브를 조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3조원을 투자해 잉곳·웨이퍼·셀·모듈 통합 생산 단지를 건설한다. 카터스빌 공장은 내년 말 상업생산을 목표로 3.3기가와트(GW)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은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핵심 밸류체인 5단계 가운데,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제품을 한 곳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할 계획이다.
이구영 한화솔루션 대표는 "현재 운영 중인 달튼 공장은 모든 생산 설비를 금년 내에 2배 이상 증설할 예정"이라며 "카터스빌에선 웨이퍼와 셀 모두를 한 곳에서 통합 생산하는 공장을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2019년 모듈 양산을 시작한 달튼 공장의 연간 생산 능력을 현재 1.7GW에서 올해 말까지 5.1GW로 확대한다. 올해 상반기 중 1.4GW 규모 생산 라인 증설을 끝내고 연말까지 2GW의 생산 능력을 추가로 늘리겠다는 목표다.
한화솔루션이 내년 말 달튼 공장과 카터스빌 공장의 신증설을 완료하면 현지 모듈 생산 능력이 총 8.4GW로 늘어난다. 8.4GW는 실리콘 전지 기반 모듈을 만드는 태양광 업체 생산 능력으로는 북미 최대 규모다. 미국 가구 기준 약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전력량이다.
이구영 대표는 "달튼과 카터스빌을 잇는 솔라허브는 내년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갈 것이며 최대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로 잡리 잡을 것"이라며 "솔라 허브 구축을 계기로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