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증권사에 이자장사 지적 "신용융자 이자율 산정 개선"
이남의 기자
8,441
공유하기
|
은행에 '이자장사'를 지적했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에 이자율 개선을 요구했다. 고금리 시대에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어 투자자의 신괴 제고를 위해 이자율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사 CEO 간담회에서 "금융의 사회적 책임 강화와 불합리한 관행 개선을 통해 투자자 신뢰를 굳건히 해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투자자의 권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예탁금 이용료율과 주식대여 수수료율, 신용융자 이자율 산정관행 개선 논의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며 "증권사 리서치 보고서의 객관성·신뢰성 제고 문제도 제대로 개선될 수 있도록 업계가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그는 "올해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둔화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건전성 리스크가 증권업계 주요 위험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며 "유동성·건전성 리스크를 최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춘 증권사는 자금조달이 원활하지 않은 취약 부문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등 시장 안정에 큰 힘을 실어주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증권산업이 경쟁력 제고와 글로벌화도 강조했다. 그는 "혁신적인 금융투자상품의 개발과 기업공개(IPO) 기업의 발굴, 토큰 증권 발행·유통 관련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영역으로의 진출을 통해 경쟁력 제고에 지속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국내 증권산업의 글로벌화는 아직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해외시장 진출과 해외투자 확대는 우리 증권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만큼 글로벌화에도 더더욱 힘써달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모험자본 공급을 통해 실물경제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증권사 본래의 역할을 다해달라"며 "부동산 투자에 편중된 그간의 영업 방식에서 벗어나 IB업무를 통한 고부가가치 사업 역량 강화에 더 많은 자원을 집중해 실물경제의 활력이 높아지도록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