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부채 한도 문제에 최종 합의했다. 사진은 지난 2월 바이든 대통령(오른쪽)과 매카시 하원의장이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로이터
28일(현지시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부채 한도 문제에 최종 합의했다. 사진은 지난 2월 바이든 대통령(오른쪽)과 매카시 하원의장이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부채 한도 문제에 최종 합의하면서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를 넘겼다.


29일(현지시각) AP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은 부채한도 인상과 관련해 전일 최종 합의를 이뤘다. 백악관과 의회는 최근 미 재무부가 디폴트 시한으로 지정한 날짜(6월5일)를 8일 앞두고 협상을 종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종 합의 후 "좋은 소식"이라며 "이번 합의로 미국 역사상 첫 디폴트란 최악의 위기를 막았다"고 말했다. 매카시 의장은 "합의안이 모두가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를 못한지만 분열된 정부에서 예상된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전날 백악관과 공화당은 부채 한도 인상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양측은 내년 대통령 선거 당선자가 확정되는 2025년 1월까지 부채 한도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번 합의안은 2년간 31조4000억달러(약 4경1700조원) 규모의 부채한도 상한선을 끌어올리고 2024 회계연도엔 동결, 2025년엔 최대 1%만 증액하는 내용이 골자다. 공화당이 요구한 '푸드스탬프(식량 보조 프로그램)' 수혜자의 경우 기준 연령 등 노동 의무 요건을 강화하기로 했다.


다만 공화·민주 양당 강경파의 반발은 아직 넘어야 할 산이다. 법안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하원과 상원 표결을 거친 뒤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이 필요하다. 특히 공화당이 우세한 하원 통과가 분수령으로 꼽힌다.

WSJ는 "이미 공화당 내 일부가 반대할 것임을 시사했다"며 "이들은 2024, 2025 회계연도에 비국방 예산에 제한을 둔다는 공화당의 목표에 미치지 못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