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의료시설 제외하고 다 늘었다
김노향 기자
공유하기
|
지난해 전국 모든 건축물의 에너지 총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전년대비 각각 5.9%,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 전국 모든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을 집계한 결과 에너지 총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전년대비 각각 5.9%, 2.7% 증가했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고점에 달했던 2018년과 비교해선 단위면적당 사용량이 4.8% 감소했다고 밝혔다.
2022년 에너지 총사용량은 건축물 신축에 따른 연면적이 3.1% 증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9% 증가한 3636만2000TOE로 집계됐다. TOE(석유환산톤)는 석유 1톤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이다.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122kWh/㎡로 에너지 총사용량 증가율(5.9%)보다 낮게 나타났다. 2019년 이후로는 최고치를 기록해 에너지절감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국가 건물 에너지 사용량 추이와 지역별·용도별 사용 경향 분석이 탄소중립 달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통계자료로 건물 에너지 정책수립 방향의 근간이 된다"고 밝혔다.
국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과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 설정의 기준이 되는 2018년 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2022년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이 감소했다. 울산(-8.1%) 인천(-7.6%) 등은 감소 폭이 컸다.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의료시설(-0.5%)을 제외하고 모든 용도의 건축물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다. 2018년 대비로는 공동주택(3.1%)을 제외한 모든 건축물이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