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한 저탄소 제품을 생산한다. 사진은 S-OIL 주유소 전경. /사진=S-OIL
S-OIL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한 저탄소 제품을 생산한다. 사진은 S-OIL 주유소 전경. /사진=S-OIL


S-OIL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한 저탄소 친환경 신에너지 사업을 본격화한다.

S-OIL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정제 공정에 투입해 저탄소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실증 특례 사업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규제 샌드박스를 신청, 승인받았다고 6일 밝혔다.


샌드박스 승인에 따라 S-OIL은 국내외에서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제조한 열분해유를 온산공장 기존 정유 화학 공정에서 원유와 함께 처리해 휘발유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원료 투입 초기 테스트를 통해 안정화 과정을 거쳐 신에너지 사업 추진을 본격 진행한다. 향후 2년 동안의 실증기간 동안 최대 1만톤의 열분해유를 기존 정유 화학 공정에 투입, 자원순환형 제품을 생산할 방침이다.

S-OIL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원유의 혼합 비율을 조정해가며 전체 제품 수율 변화와 공정 영향성을 평가, 친환경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로 했다. 주로 소각·매립되던 폐플라스틱을 재자원화해 이산화탄소 및 폐기물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플라스틱은 85% 이상 재자원화가 가능하다. 폐플라스틱이 1톤 재생될 경우 소각에 비해 약 1만2000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OIL 관계자는 "저탄소, 순환형 신에너지 관련 사업을 적극 추진해 '최고의 경쟁력과 창의성을 갖춘 친환경 에너지 화학 기업'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