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수·수산물' 안전하다"…후쿠시마 오염수방류 이후 결과
부산=김동기 기자
공유하기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 8월24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1개월이 흐른 시점에도 방사능 검사·분석결과, 해수와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25일 밝혔다.
부산시에 따르면 해수 방사능 안전성 검증을 위해 부산시 해역의 방사능 조사지점 23곳을 검사·분석한 결과, 오염수 방류 여부와 관계없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운대, 광안리, 다대포, 임랑, 일광, 송정, 송도, 고리원전, 오륙도, 대변(→가덕도23. 9.~) 등 연안해수 10곳도 세계보건기구(WHO)의 먹는 물 기준과 비교해도 훨씬 낮은 수준의 수치를 보였다.
또, 15분마다 해수 방사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 무인감시망 6곳(문중방파제, 국립수산과학원, 남천항, 수영만요트경기장, 국제여객터미널, 수산자원연구소)에서도 방사능이 불검출됐다.
부산시는 수산물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서도 수입·생산·유통단계마다 방사능을 꼼꼼하게 검사하고 촘촘하게 감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수산물의 경우에도 오염수 방류 여부와 관계없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입단계에서는 일본 후쿠시마현 등 인근 8개 현에서 생산한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그 외 지역의 일본산 수산물은 수입 시마다 방사능을 검사해 조금이라도 방사능이 검출되면 수입을 차단한다.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유통되기 전의 생산단계, 소비자가 구입하는 유통단계에서 올해 9월15일까지 총 1049건을 검사할 결과 모두 '안전'하다. 아울러, 수산물 등 먹거리의 안전성을 빈틈없이 관리하기 위해 원산지 표시제 단속품목과 단속인원을 확대했고, 수입 수산물의 국산 원산지 둔갑을 방지하기 위한 유통이력 관리 대상 품목도 늘려가고 있다.
부산의 바다와 수산물에 대한 안전정보와 방사능 감시분석결과를 1783개의 전달매체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수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를 추가 설치하는 등 방사능 감시분석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으며, 지금까지의 오염수 방류 대응체계가 앞으로도 빈틈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시민 여러분들께서는 과학적·객관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수산물을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