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은 25일 셀트리온헬스케어와 4236억원 규모 바이오시밀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은 25일 셀트리온헬스케어와 4236억원 규모 바이오시밀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바이오시밀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미국과 유럽 등 지속해서 늘어나는 항체 바이오시밀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셀트리온은 25일 셀트리온헬스케어와 4236억원 규모 바이오시밀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대상 바이오시밀러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램시마SC, 유플라이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 비소세포폐암·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제 베그젤마 등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최근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 승인을 받은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와 베그젤마 등 신규 품목 중심의 성장세에 따라 글로벌 공급을 위한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의 해외 판매를 맡은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럽 직접판매(직판) 체재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유럽시장에서 셀트리온의 대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가 61.7%, 트룩시마 22.1%, 허쥬마 19.2%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램시마와 트룩시마의 점유율은 오리지널 제품을 뛰어 넘었다.

미국 시장에선 올해 2분기 기준 램시마(미국명 인플렉트라)가 30.2%, 트룩시마가 30.5%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램시마의 피하주사 제형인 램시마SC(미국명 짐펜트라)가 현재 미국 내 신약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인 만큼 램시마의 꾸준한 점유율 상승은 향후 짐펜트라의 미국시장 진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램시마SC는 유럽 주요 5개국(EU5)에서 1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독일에서 33%, 프랑스에서 21% 각각 점유율을 달성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램시마SC는 최근 유럽에 출시한 블록버스터 신약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란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최근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주요국에서 허가를 확대하고 있는 유플라이마와 베그젤마 등 신규 품목 중심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도 빠르게 나서고 있다. 최근 유럽에서는 이탈리아 등 주요국에서 꾸준히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 허쥬마 등 기존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공급이 확대되는 가운데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등 차세대 품목이 허가 확대와 수주가 이어지면서 안정적 성장을 이루고 있다"며 "주요 품목의 허가 및 출시 지역 확대에 따라 하반기 성장세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 공급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