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기 <자료사진> ⓒ AFP=뉴스1
러시아 국기 <자료사진> ⓒ AFP=뉴스1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당초 이번 주로 예정됐던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의 방한이 불발됐다.


26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한러 외교당국은 지난주까지만 해도 루덴코 차관의 '추석(29일) 전 방한'을 조율해왔으나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채 결국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한러 양측은 '상호 편한 시기에 루덴코 차관 방한을 다시 추진한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최근 북한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에 따른 군사협력 가능성에 대한 우리 측의 문제 제기가 루덴코 차관 방한 불발의 한 배경이 됐을 수 있단 해석도 나온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3일 러시아 아무르주 소재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통해 무기거래 및 군사기술 이전 등에 관한 사항을 논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장호진 외교부 제1차관은 지난 19일 안드레이 쿨릭 주한러시아대사를 초치해 "북한과의 군사협력을 중단하고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할 것"을 요구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을 위한 안보리 결의는 유엔 회원국과 북한 간의 무기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또한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북러 군사거래는 대한민국 안보·평화를 직접 겨냥한 도발"이라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러시아 측은 북한과의 군사거래 동향에 대해 "근거 없는 추측"이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주한러시아대사관은 윤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 내용을 두고 "러북 협력을 깎아내리기 위한 미국의 선전활동에 동참했다"며 "유감"을 표명하기까지 했다.


루덴코 차관은 이번 북러정상회담 하루 전인 이달 12일 "한국 측이 원한다면 (김 총비서 방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혀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그는 이달 22일 이도훈 주러시아대사를 만났을 땐 윤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 내용과 관련해 "(한러) 양국관계에 심각한 손상을 가한 비우호적 발언"을 했다며 불만을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