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2+2협의체 첫 회의 가져… 선거구 획정안 놓고 '이견'
최재혁 기자
공유하기
|
여야가 마지막 21대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민생법안을 논의하는 '2+2협의체'를 7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선거구 재획정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뤘다.
7일 뉴스1에 따르면 2+2 협의체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첫 회의를 열어 22대 총선 선거구 재획정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여당 간사인 김상훈 의원(국민의힘· 대구 서)과 최형두 의원(국민의힘·경남 창원마산합포), 야당 간사인 김영배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성북갑)과 이해식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강동을)이 참석했다
이날 민주당은 경기 부천 1석·전북 1석 축소 등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초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영배 의원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부천이 난데없이 지역구가 축소됐고, 전북이 1석 축소됐기 때문에 이 안은 도저히 수용 못하는 것이 확고하다"며 "서울에서 2석이 줄어들고, 경기에 1석을 주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분구·합구된 선거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재획정 논의가 첫 번째이고, 두 번째로 구역 조정을 포함한 특례 존치 여부 논의가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또 "인구 증감에 따라 미세 조정한 구역 간 경계 조정 논의가 필요하다"며 주요 쟁점에 대해 설명했다.
김영배 의원은 "이 세 가지 부분에 대한 채널을 어떻게 가동하고 정리해 나갈지 의견을 나눴다"며 "간사 간 결정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기 때문에 논의 속도를 빨리 높이자고 했다"고 전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정당 유불리만 따져 재논의를 하려 한다고 맞섰다. 김상훈 의원은 "(감석된) 지역에 현역의원이 많은 민주당은 자기들이 불리하다고 이야기하는데 선관위 획정안을 보면 정당 유불리 문제로 판단한 것은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례대표 선거제 논의와 관련해 김상훈 의원은 "국민의힘은 의원총회에서 권역별 병립형에 대해 추인을 했고, 민주당은 세달 넘게 의견조율을 못하고 있다"며 "유권자가 하는 투표행위가 어떤 기록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명쾌하게 얘기할 수 있는 선거제가 바람직하다. 유권자가 투표한 득표율에 비례해 결정되는 병립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방제가 아닌 우리나라에서 연동형은 사실상 무리"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