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영 바이오노트 학술팀 수의사가 대한수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반려동물 질병 진단에서 POCT PCR(현장진단 유전자증폭)을 주제발표 하고 있다. /사진=바이오노트
문희영 바이오노트 학술팀 수의사가 대한수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반려동물 질병 진단에서 POCT PCR(현장진단 유전자증폭)을 주제발표 하고 있다. /사진=바이오노트


바이오콘텐츠·동물진단 기업 바이오노트가 반려동물 질병 진단에서 POCT PCR(현장진단 유전자증폭) 트렌드를 제시했다.

바이오노트는 지난 11월29일부터 12월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3 대한수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POCT PCR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수의생명과학의 첨단기술 및 융합'을 주제로 19개 학술세션이 진행됐다.


바이오노트는 동물 질환에 있어 고급 분자 진단 기술의 현장 적용 세션에서 반려동물 질병 진단에서 PCR의 POCT 적용 트렌드를 주제 발표를 통해 글로벌 수의시장에서의 분자진단 시장 트렌드와 POC(Point-of-care) PCR 장비 기술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글로벌 수의분자진단 시장규모는 2021년 3300억원에서 2026년까지 5400억원으로 확대돼 연평균 10%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현재 전체 PCR 검사에서 진단검사실에 의뢰하는 경우가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5% 정도만이 POC 장비를 통해 진단하고 있다. 개선된 기술의 POC PCR 장비가 개발되고 있어 5년 이내에 큰 점유율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노트가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Vcheck M10은 하나의 장비 내에 핵산 추출과 증폭, 결과 분석까지 한시간 내에 가능하다. 8개 채널 확장을 통해 전문실험기관부터 소형, 대형 병원까지 규모별로 최적화해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바이오노트 관계자는 "M10의 다양한 시약 파라미터를 확장해 글로벌 사업을 더욱 가속화하는 것이 목표"라며 "내년 상반기에는 진드기 매개 병원체인 바베시아 깁소니에 대한 시약의 내수용 허가도 완료돼 국내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