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정부 주도' CFE, RE100 대안으로 글로벌 영향력 높인다
사우디·영국·프랑스·UAE·네덜란드 등 호응
"재생에너지만으론 실현 탄소중립 불가능"
김동욱 기자
공유하기
|
정부가 RE100(기업의 사용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캠페인) 대안으로 꼽히는 무탄소 에너지(CFE)를 확대한다. 한국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무탄소(CF) 연합은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발전, 수소연료전지 등 무탄소 전력 사용을 허용하는 게 특징이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CF연합은 지난해 10월 출범한 후 국제적 공감대 확보 및 협력 관계 확대를 위한 글로벌 활동을 펼쳐왔다.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 동맹 70주년 기념 청정에너지 콘퍼런스에 참여해 CFE 이니셔티브 구상을 제시했다. 같은 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한·미 에너지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과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한·영 정상회의 경제사절단에 참여해 협력 제안 등의 활동을 펼쳤다.
올해는 CFE 이니셔티브의 확대·발전을 위한 활동을 본격 전개할 방침이다. CF 연합 글로벌 협의체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것. 주요국이 참여하는 CFE 글로벌 작업반을 구성·출범해 기업의 무탄소에너지 사용 실적 인증을 위한 제도를 마련한다. 주요 양자·다자 국제회의에 참여, 해외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내 민간 부문 소통도 늘린다. 국내외 CFE 확산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공감대를 바탕으로 CFE가 추진되고 있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지난해 12월 열린 제28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COP 역대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원자력·수소·CCUS(탄소포집·저장·활용) 등이 명시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프랑스, 아랍에미리트(UAE), 네덜란드 등 주요국들은 CFE 이니셔티브를 공식 지지하거나 협력 의사를 표명했다.
이회성 CF 연합 회장은 "재생에너지만으로는 탄소중립 달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가용한 모든 무탄소 에너지를 동원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커다란 패러다임 변화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