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38층 대방역 초역세권 아파트 사업 '일시정지' 된 이유
서울시 "용적률, 교통계획 등 주변 일대와 연계한 재논의 필요성"
정영희 기자
2,778
공유하기
|
여러 재개발 계획이 추진됐다가 무산됐던 서울 영등포구 대방역 일대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역세권 시프트) 사업이 멈춰섰다. 당초 수립했던 최고 38층 공동주택 역세권 시프트 계획안에 대한 용적률, 교통계획 등 주변 일대와 연계한 재논의 필요성이 제기돼서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열린 제3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신길동 1358번지 일대를 재개발하는 '대방역세권 장기전세주택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계획결정안' 심사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사업지 면적은 1만4922㎡로 최고 38층, 616가구(임대 258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계획안의 주된 내용이었다.
분양 물량은 358가구, 전용면적 40㎡ 이하의 소형부터 85㎡까지 구성됐다. 제2종(7층)과 제2종일반주거지역인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2단계 종상향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용적률 기준은 공공임대(장기전세) 주택 공급으로 인한 완화 등에 따라 최고 430%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보류하기로 결정한 배경엔 최고 38층 계획의 적합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교통계획 적정성과 주변 과의 연계성 등도 고려사항에 포함됐다.
해당 안건은 수권소위원회로 넘어가 용적률과 가구수, 층수 등에 대한 세밀한 심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당초 이 지역 일대에서는 '신길밤동산구역'이라는 이름의 대규모 재개발이 추진된 바 있다. 2009년 서울시는 해당 구역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하고 5만3532㎡ 부지에 1198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5년 뒤 노후 주거지역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구역 지정 해제됐다.
이후 일대는 지역주택조합, 가로주택사업, 재개발 등 추진 세력이 나뉘었다. 이 가운데 대방역과 가장 가까운 1만4922㎡ 구역이 먼저 역세권 시프트로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해제된 구역 전체를 역세권 시프트로 하는 방안도 나왔지만 면적 최대 기준을 2만㎡로 정해둔 서울시 '역세권 시프트 건립 운영규정'에 따라 실현되지 못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