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서울 출퇴근시간 단축하자" 광역급행버스 등 도입
27일부터 급행버스 5001-1번, 5600번 운행… 출근 시간대 좌석예약제도 시행
2층 전기버스 14대 도입… 혼잡 심한 명동성당 등 가로변 정류장 정차도 추진
경기=김동우 기자
공유하기
|
용인시가 시민들의 서울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광역급행버스를 도입하고 2층 전기버스를 추가로 투입한다.
용인시는 8일 용인과 서울을 오가는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통개선책을 발표했다. 개선책에는 광역급행버스 도입과 좌석예약제 확대, 2층 전기버스 추가, 명동성당 인근 가변 정류장 정차 등이 담겼다.
시는 오는 27일부터 교통 체증이 심한 출근 시간대에 승객이 많은 주요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광역급행버스를 운행한다. 명지대에서 출발해 강남역으로 가는 5001-1번, 강변역 방면으로 가는 5600번을 오전 6~8시 각각 두 차례에 걸쳐 좌석 예약제로 운행할 예정이다.
오는 6월부터는 5001번(강남역), 5005번(서울역), 5700A번(강변역)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용인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14개 노선(33회)에서 좌석 예약제가 시행된다.
시는 광역버스 승객이 더 많이 탈 수 있도록 친환경 2층 전기버스도 확대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가 올해 도입키로 한 총 50대의 전기버스 중 14대가 용인특례시에 배정돼 올해 말까지 순차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서울 시내 도심 혼잡으로 인한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오는 16일부터 서울 중구 명동성당 방향으로 운행하는 4101번, 5000A/B번, 5005번, 5005(예약)번, P9211(퇴근)번이 중앙차선 버스정류장이 아닌 가로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이 가능해져 혼잡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퇴근 시간대에 서울 강남에서 버스전용차로의 정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부 노선은 정류장 순서를 바꿔서 운행한다.
대상 노선은 1560번, 5001번, 5001-1번, 5002B번 5003번으로, 오는 6월 말부터 경부고속도로→신양재IC→강남→신논현→반포IC→경부고속도로 등의 방향으로 운행한다. 기점에서 출발하는 첫차부터 오후 2시까진 기존 방향대로, 오후 2시부터 막차까진 역방향으로 운행한다.
이상일 시장은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 그동안 검토한 개선책들을 시행한다"며 "앞으로도 광역버스를 이용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교통 편의가 증진되도록 국토교통부 등과 계속 협의해서 실현 가능한 합리적인 대책들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김동우 기자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