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전공의들이 정부를 상대로 고소, 고발 등 소송전을 이어나가는 가운데 정부가 유감을 표명했다. 사진은 지난 7일 오후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하기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민원실로 가기 전 피켓을 들고 있는 사직 전공의들. /사진= 뉴시스
사직 전공의들이 정부를 상대로 고소, 고발 등 소송전을 이어나가는 가운데 정부가 유감을 표명했다. 사진은 지난 7일 오후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하기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민원실로 가기 전 피켓을 들고 있는 사직 전공의들. /사진= 뉴시스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 후 정부를 상대로 고소·고발 등의 소송을 제기하자 정부가 유감을 표명했다.

8일 뉴스1에 따르면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이날 오전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주재로 회의를 열고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집단으로 비우는 불법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 대상의 고소·고발과 소송이 난무한 지금의 모순된 상황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 공백 문제를 해소하고 병원의 운영 상황이 회복될 수 있도록 전공의들은 조속히 집단 행동을 중단하고 의료 현장으로 돌아와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앞서 정근영 전 분당차병원 전공의 대표와 이병철 변호사(법무법인 찬종)는 지난 7일 정부 측이 의대 증원 관련 회의들 중 일부 회의록을 남기지 않았다고 한 점을 문제삼아 조규홍 복지부 장관과 이주호 교육부 장관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했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 오석환 교육부 차관,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 등도 고발대상에 포함됐다.


중수본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100개 수련병원 전임의 계약률은 66.8%로 지난 2일(65.8%) 대비 1%p 증가했다. 수도권 주요 5대 병원 전임의 계약률도 지난 2일 68.2%에서 지난 7일 69.6%로 1.4%p 늘었다.

지난달 25일 발족한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오는 10일 2차 회의를 개최한다. 아직 대한의사협회·대한전공의협의회·대한의학회 등 의료계는 참여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박 차관은 "의사단체는 회의에 참여하여 의료개혁의 사회적 논의에 함께해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