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 직격탄 맞은 45세 미만 전세 거주자… 이중고 겪어
한국은행 '고물가와 소비' 보고서
"취약층 부담 가중돼 물가안정 중요"
박슬기 기자
2024.05.28 | 05:53:00
공유하기
|
고물가·고금리 타격을 가장 많이 본 가계는 전세에 거주하는 45세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로 인해 가계 소비 증가율이 5%포인트 감소한 가운데 45세 이하 연령층 중 전세보증금 대출을 받은 경우 고물가로 인한 자산 가격 하락과 고금리 등 '이중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 조사국 거시분석팀이 가계 연령과 주거 형태별로 고물가·고금리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동형 금리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동시에 보유한 가계에서 물가, 금리 부문에서 모두 손해를 봤다.
자가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70세 미만 가계는 물가와 금리 모두 이득을 봤다. 한은은 "물가 상승은 2021, 2022년 중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려 이 기간 소비증가율(2020년 말 대비)을 4%포인트 내외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부터 최근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누적 기준 12.8%, 연율로 계산하면 3.8%다. 2010년대 평균(연율 1.4%)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이다. 지난 2021~2022년 소비 증가율은 지난 2020년 4분기 9.4% 대비 약 4%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금융자산과 부채를 각각 얼마나 보유했는지에 따라 물가 상승에 따른 영향도 달랐다. 물가가 오르면 금융자산과 부채의 실질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전세 거주자들은 대체로 전세 보증금의 실질 가치가 하락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데다 대출도 받았다면 금리가 상승해 이자 비용 부담도 커졌다.
대체로 자산이 많은 고령층은 금리 상승으로 이득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저연령층에서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금융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이자비용에 비해 이자소득이 더 많아 이득을 본다"며 "반면 젊은층은 보유자산이 없는데 부채를 일으켜 집을 마련하거나 전세보증금을 마련해야해서 이자비용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물가 오름세가 둔화함에 따라 소비가 물가로 위축되는 효과도 약화할 것"이라며 "고물가는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하는 부정적인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슬기 기자
생활에 꼭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