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 병·약국 1800곳 문열어요"...서울시, 응급의료체계 '풀가동'
박정은 기자
공유하기
|
서울시가 추석 연휴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해 해당 기간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1800여개로 대폭 확대해 운영한다.
2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시는 추석 연휴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해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지난 설 대비 1.5배 규모인 1800여개로 대폭 확대한다. 시는 추석 연휴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해 비상 근무체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또 응급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71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연휴 기간 경증 환자들이 보다 쉽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의 수를 대폭 확대했다. 이달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문 여는 병원은 500개, 약국은 1300여개로 일평균 1800여 곳을 지정해 운영한다. 지난 설과 비교할 때 1.5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시는 추석 연휴 기간 중 시청 내부에 '응급진료상황실'을 설치해 응급의료기관 운영상황과 문 여는 병·의원 및 약국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문 여는 병·의원, 약국은 서울시 '2024 추석 연휴 종합정보' 홈페이지, 25개 자치구 홈페이집, 응급의료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 120(다산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로 문의하거나 응급의료정보제공 앱 등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25개 자치구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경증 환자를 위한 '응급진료반'도 운영한다. 보건소는 연휴기간 중 3일 이상 내과 및 가정의학과 진료를 제공하며 17일 추석 당일에는 모든 보건소가 필수적으로 운영된다. 시립병원도 이번달 16일부터 18일까지 각기 다른 진료과목으로 외래 진료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시는 응급의료대응 여력을 보강하기 위해 71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응급 의료진 확보를 위한 응급실 전담의사 수당 지원과 응급실에서 연계된 환자의 수술 및 중환자실 운영 등 '배후진료' 강화 비용이 포함된다. 7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4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각각 11억2000만원과 28억8000만원이 배정된다. 배후진료 운영비는 31억원이 지원된다.
시내 응급의료기관과 종합병원 응급실은 추석 연휴에도 평소와 같이 24시간 운영한다. 응급의료기관은 ▲서울대학교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 ▲서울시 서남병원 등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 ▲응급실 운영병원 20개소 등 총 69개소가 운영된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오후 시내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해 응급의료체계 및 운영현황 등을 확인하고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의료진에게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