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차례 유찰된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에 대한 수의계약 진행이 결정된 가운데 단독 응찰해온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체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덕도신공항 여객터미널 전체 조감도. /사진=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제공
네 차례 유찰된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에 대한 수의계약 진행이 결정된 가운데 단독 응찰해온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체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덕도신공항 여객터미널 전체 조감도. /사진=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제공


정부가 네 차례 유찰된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를 수의계약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6일 전문가 자문회의와 11일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를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27조에 따라 수의계약으로 전환한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공사는 활주로와 방파제 등을 건설하는 10조53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사업이다. 그동안 정부는 여객터미널 등 건축설계 착수, 접근·연계교통망 전담팀(TF) 출범 등 가덕도신공항 관련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부지조성공사 입찰은 네 차례 유찰되는 등 사업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앞서 전문가 자문단과 항공정책위원회는 지난 7월 입찰조건을 변경했음에도 재차 유찰된 것을 감안하면 재공고하더라도 경쟁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봤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 국토부는 부지조성공사가 지연되는 경우 여객터미널 설계와 교통망 사업 등 관련 사업마저 지연될 수 있어 수의계약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김해공항 국제선 여객터미널 포화와 지역 국제선 수요의 증가추세를 고려할 때 가덕도신공항을 신속히 건설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제 계약체결 전까지 입찰참가자격 조달청 사전심사와 기본설계 적격성 심사 등을 철저히 이행해 가덕도신공항을 고품질의 안전한 공항으로 건설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단독응찰했던 현대건설 컨소시엄과 수의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커졌다. 컨소시엄 내 10대 건설업체 지분율은 현대건설 25.5%, 대우건설 18.0%, 포스코이앤씨 13.5%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