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여가활동의 중심지가 영상 스트리밍 채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로 확인됐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 투데이
온라인 여가활동의 중심지가 영상 스트리밍 채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로 확인됐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 투데이


10대부터 50대까지 온라인 여가활동의 중심지가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로 확인됐다. 유튜브는 10명 중 9명이 보는 것으로 조사돼 관심이 모인다.


CJ ENM의 통합 디지털 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는 30일 이같은 조사 결과가 담긴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 리포트:여가 및 취미 편'을 내놨다. 설문 조사는 지난 7월12일부터 23일까지 서울과 경기,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5~59세 남녀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 결과(중복 응답) 응답자들이 여가시간에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57%)이나 OTT(38%)에서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사이트 정보 검색 3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 29% ▲온라인 쇼핑 27%가 뒤를 이었다.


전 연령대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영상 스트리밍 채널은 유튜브(89%)고 일 평균 이용 시간은 97분으로 조사됐다.

1분 내외의 짧은 영상이 주요한 미디어 형식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응답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채널은 '유튜브 쇼츠'(76%)로 확인됐다. 일 평균 숏폼 채널 이용시간은 44분으로 집계됐다.


응답자 절반은 기존 광고(가로형)보다 숏폼 광고(세로형)가 더 주목된다고 응답했다. 이유로는 ▲'기존 광고 유형보다 짧고 간결해서'(53%) ▲'최근 시청 환경에 더 적합해서'(42%) ▲'광고 내용이 트렌디해서'(39%) 등이 꼽혔다.

한편 전년 대비 넷플릭스 이용률은 77%에서 68%로 감소한 반면 티빙은 34%에서 38%로, 쿠팡플레이는 24%에서 37%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티빙의 경우 20·30세대와 쿠팡플레이의 경우 40·50세대의 이용률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