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후 군의관 가느니 휴학하고 현역 입대"… 전년대비 6.5배 급증
박정은 기자
2,261
공유하기
|
의대생들이 등교를 거부하며 휴학한 상황에서 아예 군의관을 포기하고 현역병 입대를 택한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무려 6.5배나 증가했다.
8일 뉴스1에 따르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강동구갑)은 '전국 국·사립 의대 군 휴학 허가 인원'을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37개 의대(3개 대학 자료 미제출)에서 군 휴학 허가를 받은 인원은 1059명이다.
최근 4년간 입대를 위해 휴학한 의대생은 ▲2021년 116명 ▲2022년 138명 ▲2023년 162명 ▲2024년 1059명이다. 1년 만에 6.5배, 3년 만에 7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국·사립별 휴학 인원은 국립대가 358명, 사립대가 701명이었다. 휴각한 의대생이 가장 많은 대학에서는 무려 69명이 군 휴학을 신청하기도 했다.
군의관은 의대 졸업 후 인턴이나 레지던트를 마치고 군 장교 직책으로 3년간 근무하게 된다. 현역병보다 약 20개월을 더 근무하게 되는 셈이다. 기존에는 일반 병사보다 좋은 처우와 급여로 군의관 수급에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일반 병사의 처우가 개선되면서 굳이 군의관을 지원할 이유가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군의관 기피 현상은 최근 의정갈등으로 인한 학생들의 휴학 여파도 없지 않다. 어차피 휴학하는 만큼 이참에 군대를 다녀오겠다는 학생들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방부는 매년 약 700명의 군의관 인력 수급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2100명의 군의관이 군 의료 체계를 뒷받침하고 있다. 대규모로 의대생이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면서 수급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