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유니테스트, 페로브스카이트 AI 반도체 전력원 급부상… 관련 기술 확보 부각
이지운 기자
3,580
공유하기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 받는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인공지능(AI) 전력 소모량을 줄이면서 높은 수준의 정확도로 연산을 연산이 가능한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한 유니테스트 주가가 강세다.
22일 오전 9시31분 기준 유니테스트 주가는 전일 대비 590원(6.46%) 오른 97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포항공대(포스텍),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와 함께 초저전력으로 AI 연산이 가능한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AI용 반도체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주로 사용된다. 다만 전력 소모가 크고, 빠른 성능 저하, 물리적 한계로 인한 성능 향상 제한 등 여러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연구진은 차세대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소재로 주목받던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가 높은 이온 이동도를 가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진은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로 뉴로모픽 소자를 만들고 연산 성능을 확인했다. AI의 성능 검증에 쓰이는 데이터셋인 MNIST, CIFAR, ImageNET 같은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추론 오차율은 0.08%로 이론적 한계 값과 큰 차이가 없었다.
소자를 여러 개 연결한 '어레이(Array)'도 초저전력으로 인공지능(AI) 연산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이번 연구가 AI 연산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소식에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는 유니테스트가 주목받고 있다. 유니테스트는 지난 2019년 11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의 광전변환 효율을 14.8%까지 끌어올려 서브모듈(Sub-module·200~800cm²)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을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NREL)로부터 인증 받은 바 있다. 특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저가로 양산 가능한 공정기술과 대면적 모듈 제작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22일 오전 9시31분 기준 유니테스트 주가는 전일 대비 590원(6.46%) 오른 97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포항공대(포스텍),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와 함께 초저전력으로 AI 연산이 가능한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AI용 반도체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주로 사용된다. 다만 전력 소모가 크고, 빠른 성능 저하, 물리적 한계로 인한 성능 향상 제한 등 여러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연구진은 차세대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소재로 주목받던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가 높은 이온 이동도를 가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진은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로 뉴로모픽 소자를 만들고 연산 성능을 확인했다. AI의 성능 검증에 쓰이는 데이터셋인 MNIST, CIFAR, ImageNET 같은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추론 오차율은 0.08%로 이론적 한계 값과 큰 차이가 없었다.
소자를 여러 개 연결한 '어레이(Array)'도 초저전력으로 인공지능(AI) 연산이 가능하다는 점도 확인, 이번 연구가 AI 연산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소식에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는 유니테스트가 주목받고 있다. 유니테스트는 지난 2019년 11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의 광전변환 효율을 14.8%까지 끌어올려 서브모듈(Sub-module·200~800cm²)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을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NREL)로부터 인증 받은 바 있다. 특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저가로 양산 가능한 공정기술과 대면적 모듈 제작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지운 기자
머니S 증권팀 이지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