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컨텍, 머스크 "화성에도 군집위성 띄운다"… 스페이스X 주요 고객사 '부각'
이지운 기자
4,225
2024.11.14 | 10:34:30
공유하기
|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화성에도 지구의 스타링크와 같은 군집위성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스페이스엑스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있는 컨텍 주가가 장 초반 강세다.
14일 오전 10시30분 기준 컨텍 주가는 전일 대비 850원(7.62%) 오른 1만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미국 현지매체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일 스페이스엑스는 나사(미 항공우주국)에서 열린 화성 탐사 프로그램 분석 그룹 설명회에서 이 같이 제안했다. 나사가 '차세대 연결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요구한 조건은 지구∼화성의 평균 거리인 2억2500만km(1.5AU,1AU=지구∼태양 거리) 거리에서 4Mbps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4Mbps는 1초에 약 500KB(킬로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다. 8초 안에 음악 파일 한 곡(4MB), 10초 안에 고화질 사진 한 장(5MB)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은 어렵지만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에는 충분한 수준이다.
가칭 마스링크(Marslink)라는 이름의 이 군집위성은 스타링크의 레이저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마스링크 위성은 데이터 전송 뿐 아니라 화성 사진 촬영이나 관측에도 활용할 수 있다.
마스링크는 머스크의 화성 정착촌 건설 계획과 잘 맞아떨어지는 통신 인프라다.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엑스를 통해 "마스링크는 아주 기본적인 첫 단계일 뿐이며 지구와 화성은 궁극적으로 초당 페타(1페타=1000조)비트 이상의 연결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9월에도 화성 여행 또는 탐사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일단 2년 안에 약 5대의 무인 우주선을 화성에 보내는 것이 1차 목표다. 머스크는 5차례의 무인 착륙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4년 안에 화성 유인 착륙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소식에 컨텍이 주목받고 있다. 컨텍은 여러 위성을 대상으로 관제 임무를 지원하는 지상 시스템 개발 및 통합 가능한 지상국 시스템 엔지니어링 솔루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성 데이터 수신 서비스(GSaaS) 네트워크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는 회사로 스페이스엑스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지운 기자
머니S 증권팀 이지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