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내년도 사도광산 추도식에 대해 일본 정부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이 26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사도광산 추도식 관련 질의에 답하는 모습. /사진=뉴스1
외교부가 내년도 사도광산 추도식에 대해 일본 정부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이 26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사도광산 추도식 관련 질의에 답하는 모습. /사진=뉴스1


외교부가 사도광산 추도식 내년도 개최 시기, 장소 등에 대해 일본 정부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26일 뉴스1에 따르면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추도식 개최 시기는 제반 사항을 감안해 지난 24일로 개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변인은 "사도광산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시(지난 7월27일) 양국은 매년 7~8월쯤 추도식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일본 측은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사도광산의 모든 노동자를 진심으로 추모하는 행사를 매년 개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변인은 정부가 지난 24일 일본 측 추도식에 불참하고 자체 추도 행사를 개최한 것에 대해 "과거사에 대해 일본 측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우리 정부의 확고한 의지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 측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한 것에 대해 일본 측 추도사 내용 등 추도사 관련 사항이 당초 사도광산 등재 시 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게 중요한 고려사항이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 위치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추도식에 정부 대표인 박철희 주일대사와 강제징용 피해자의 유가족 9명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추도식 전날인 지난 23일 불참을 결정하고 25일 별도로 유가족과 함께 추도식을 개최했다.

이 대변인은 불참 사유를 일본 정부에 전달했는지에 대해 "일본 측과는 추도식 관련 사항을 포함해 제반 사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필요한 우리 입장을 전달했다"며 "양측 외교 협의 상세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는 한·일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는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할 예정"이라며 "그러한 노력에는 내년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행사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