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이재준 수원시장(왼쪽 두 번째), 정명근 화성시장(첫 번째), 이상일 용인시장(세 번째), 신상진 성남시장(네 번째)이 경기남부광역철도 공동건의서 서명한 후 기념촬영 하는 모습. / 사진제공=수원특례시
지난 5월 이재준 수원시장(왼쪽 두 번째), 정명근 화성시장(첫 번째), 이상일 용인시장(세 번째), 신상진 성남시장(네 번째)이 경기남부광역철도 공동건의서 서명한 후 기념촬영 하는 모습. / 사진제공=수원특례시


수원시가 용인·성남·화성시와 함께 경기남부광역철도사업 관련 자료를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을 수립하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직접 제출했다.


27일 시에 따르면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대도시권 광역교통체계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대광위가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상위계획이다.

경기 남부 4개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이 경기도를 거치지 않고 경기남부광역철도사업 관련 자료를 대광위에 제출한 것은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 간에 신뢰가 깨진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도는 최근 정부에 제출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우선 검토 대상 목록에서 경기남부광역 철도사업을 제외한 상태다.

반면 수원시를 비롯한 경기 남부 4개 지자체는 경기남부광역철도사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는 민간사업으로 제안된 노선으로 국비 투입을 최소화하고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돼 사업 기간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사업"이라며 경기남부광역철도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을 요구했다.

철도사업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또는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되면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거쳐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경기남부광역철도 노선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신규 공공택지개발지구인 화성시 진안신도시, 봉담3지구 등을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