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 인각사지 가마터 2차 발굴조사 현장./사진제공=대구 군위군
군위군 인각사지 가마터 2차 발굴조사 현장./사진제공=대구 군위군



대구 군위군 인각사지에서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가 추가 발견됐다.

28일 군위군에 따르면 인각사지 가마터에 대한 2차 발굴 조사에서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1기, 소성유구 1기 등이 새롭게 발견됐다.


앞서 군은 지난해 인각사지 동쪽 100m 구릉지 1823㎡를 조사해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기와가마와 다양한 유구를 발굴한 바 있다. 군의 이번 조사는 지난해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생산 유적이 추가 확인될 가능성이 있는 구릉지 300㎡를 대상으로 확대 진행됐다.

인각사지 가마터에서는 2차례에 걸친 조사 결과 통일신라 시대 구들식 기와가마 2기, 고려시대 기와가마 3기, 조선시대 대형 기와가마 1기, 삼가마 1기, 석렬 3기 등의 유구가 최종 확인됐다. 암막새, 평기와, 적새 등 기와 제작과 관련된 다량의 유물도 출토되면서 인각사 규모와 함께 기와 생산유적과 건축유적 간 긴밀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게 됐다.


조사에서 발굴된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조사지역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이동해 조성된 독특한 양상을 보였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는 삼국유사 산실인 인각사의 역사적 가치를 다시 한번 재확인한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인각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