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피해 경기남부 지자체들, '특별재난지역' 지정 촉구
안성·평택·용인시 등 각 지자체 잠정 피해 규모만 수백억원대
경기=남상인,
경기=김동우,
안성=강성원 기자
공유하기
|
|
최근 50cm에 육박하는 기록적인 폭설로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입은 안성·평택·용인시 등 경기남부 지자체들이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정부에 촉구했다.
2일 안성시 등 각 지자체에 따르면 안성 지역은 11월27일부터 내린 기록적인 폭설로 농가와 비닐하우스, 축사 등이 파손되는 등 재산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 캐노피와 천막이 무너지면서 2명이 숨지는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안성 지역은 30일 기준 농업축산시설 1000여건, 공공시설 15건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 농가 총 재배면적 1126ha 중 시설하우스·인삼재배시설 등의 28%에 해당하는 316ha가 피해를 입었다. 철거비용 146억원, 신규 설치비용은 57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현재까지 피해액이 35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각종 시설을 복구하는 데도 수백억원대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지난 1일 피해 현장 시찰에 나선 이한경 행정안정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게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건의했다.
평택시도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내린 기록적인 폭설로 농업시설 299억원, 축산시설 238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분야별 피해 건수는 농·축산시설, 공장, 소상공인 등 사유재산 피해 650여 건, 교통신호등·가로수·야외체육시설 등 공공시설 피해가 600여 건에 달한다. 집계가 마무리되면 폭설 피해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장선 평택시장도 피해 현장을 둘러본 뒤 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소집하고 정부와 경기도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했다.
최대 47.5cm의 폭설이 내린 용인시도 비닐하우스와 축사, 주택 등 시설물이 파손되고 눈을 치우던 한 주민이 쓰러지는 나무에 맞아 숨지는 등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입었다. 처인구 남사읍 봉명리의 한 육계 사육농장에서는 키우던 4만여 마리의 육계 중 3만3000여마리가 폐사했다. 피해액이 3억8000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읍 한 화훼 농장에서는 하우스 22동 9940㎡ 면적이 파손돼, 13억여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일 용인시장 역시 지난달 30일 피해 현장을 둘러보고 "남사읍을 비롯해 원삼·백암면 일대 등 피해가 큰 지역에 대해 특별재난지역을 지정과 신속한 지원을 정부에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기 남부지역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자, 정부는 북구 대책 지원본부를 가동하는 등 본격적인 피해 수습에 나서고 있다. 자치단체의 피해 접수와 현장 조사가 끝나면 합동 조사를 벌여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에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검토할 예정이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피해복구 비용의 50~80%를 정부에서 보조받을 수 있다. 국세나 지방세의 납세 유예, 전기·통신·도시가스 등의 공공요금을 감면받는다. 재난·안전관리법에 따르면 1개 읍·면·동에서 14억3000만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면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행정안전부에 건의할 수 있다도록 규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경기=김동우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
-
안성=강성원 기자
안녕하세요. 강성원 기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