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비상계엄 선포 경과 및 병력동원 관련 현안질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했다. /사진=뉴스1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비상계엄 선포 경과 및 병력동원 관련 현안질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했다. /사진=뉴스1


김선호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리)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국회에 군부대 투입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5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김 차관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해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로부터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선포 전문 내용에 동의하나. 대통령은 현재 우리 국회가 범죄자 집단의 소굴이 됐다고 했는데 그렇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김 차관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김 차관은 윤 대통령이 이날 아침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하면서 장관 직무대행을 수행하게 됐다. 김 차관은 ""국회 군부대 투입은 국방부 장관이 지시했다"고 밝혔다.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됐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또한 본인이 군부대의 국회 투입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김 차관은 '국회는 범죄자 집단'이라며 비상계엄을 선언한 윤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저는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특전사령관으로부터 (국회 투입 때 군부대에) 실탄 지급은 없었다고 들었다"고 답했다. 계엄 계획을 국방부가 작성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차관은 "국민들께 일련의 사태가 일어난 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송구하다는 말씀드린다"라며 "저도 참담하다. 매우 슬프고 괴롭다"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국방부 차관의 직책이 있으면서 일련의 행동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 그 행동을 미연에 확인하지 못했고 또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것을 막지 못했다"며 "거기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추후에 거기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