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이 14만6000여가구에 그쳐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지역. /사진=뉴시스
내년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이 14만6000여가구에 그쳐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지역. /사진=뉴시스


내년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이 15만가구에도 미치지 못하며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5년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158개 사업장에서 총 14만6130가구다. 이는 조사 이래 가장 저조했던 2010년(17만2670가구)보다 2만6540가구 적은 수준으로 역대 최저 기록이 예상된다.


GS건설·롯데건설·HDC현대산업개발 등 일부 건설업체의 잔여 물량(약 1만1000가구)을 포함하더라도 전체 물량은 16만가구에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서울에서는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정비사업으로 분류되는 단지가 래미안원페를라(1097가구) 한 곳에 불과하다. 경기 역시 고양원당더샵포레나(2601가구), 의왕고천나재개발(1913가구) 등 소수 사업장만 계획됐다.


올해 분양시장은 예상보다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계획 물량 26만5439가구 가운데 22만2173가구가 실제 분양돼 83.7%의 실적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89%, 광역시는 75%, 기타 지방은 78%로 권역별 분양 실적도 전반적으로 준수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올해 계획된 전체 물량의 33%(3만6231가구)가 내년으로 넘어갔다. 이는 올해(38%)보다는 줄었지만 2023년(17%) 대비 두 배 수준이다.


이월 물량의 절반(1만8167가구)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지방에서도 1만8064가구가 이월됐다.

내년 1월에는 이월 물량이 집중돼 1만6066가구가 분양된다. 이후 4~5월 봄철 분양 성수기에도 약 1만1000가구가 공급된다. 하반기에는 월평균 7000가구 내외로 공급이 축소될 전망이다.


내년 분양 물량의 59%는 수도권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올해(57%)보다 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권역별로는 경기(5만550가구), 서울(2만1719가구), 인천(1만3571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며 "지방에서는 부산·충남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