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공 식품을 즐겨 먹은 남성의 30년 후 모습을 예측한 충격적인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데일리메일 캡처
초가공 식품을 즐겨 먹은 남성의 30년 후 모습을 예측한 충격적인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데일리메일 캡처


한 식품회사가 탄산음료와 가공육 패스트 푸드 등 초가공 식품을 즐겨 먹은 남성의 30년 후 모습을 예측한 충격적인 모습을 공개했다.


7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식품기업 구스토는 최근 초가공식품 위주의 식습관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해로운 식습관을 조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 보고서에는 AI로 구현한 영국 남성 '마이클'의 모습이 포함됐다. 사진을 보면 마이클은 어깨는 구부러져 있고 배는 불룩하게 튀어나와 출렁거렸다. 얼굴은 여드름 등 잡티로 얼룩덜룩하고 주름이 가득하다. 또 짙은 다크서클이 내려온 눈과 흰자위 노란 빛이 돌았다. 다리에는 빨갛게 감염된 상처 등이 가득했다.


마이클은 외모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해 천식, 우울증, 불안증 등을 앓고 있으며 불면증에도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제2형 당뇨병과 심장병 고위험군으로 심장마비나 뇌졸중 우려도 있는 상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초가공식품이 많이 포함된 식사를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은 다른 유럽 국가보다 더 많은 초가공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이는 성인 식단의 57%, 어린이 식단의 66%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구스토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영국인의 약 66%가 초가공식품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지 못하며 영국인의 약 75%는 더 건강한 음식을 먹고 싶지만 시간이나 돈이 없어서 먹지 못한다고 답했다.

영국 일반의이자 미디어 해설가 힐러리 존스 박사는 "초가공식품 자체가 해로운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식품이 식단의 주를 이루고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대체하게 되면 심혈관질환, 대사 장애, 영양 결핍과 같은 장기적 건강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며 "신선하고 건강한 재료로 구성된 균형 잡힌 식단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