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파병 북한군 3000명 사상… 국정원 "'김정은' 외치며 자폭시도"
(상보)
김다솜 기자
2025.01.13 | 14:07:53
공유하기
|
국가정보원이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과 관련해 사상자 수가 30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14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질의에서 국정원이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양 간사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고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명을 넘은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또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종 사격,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 이해 부족과 러시아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특이한 면은 전사자 소지 메모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 이전에 자폭·자결을 강조하는 내용이 있다. 병사들은 막연하게 사면을 기대하는 사실도 기재돼 있다"며 "최근 북한군 한 명이 우크라이나 군에 포획될 위기에 놓이자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
국정원은 우크라이나 군에 생포된 2명의 북한군 포로에 대해서는 "(북한) 정찰총국 소속 전투원 2500명이 파견됐을 때 동반 파병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북한 당국이 파병 급여에 대한 약속 없이 '영웅으로 우대한다'는 공지를 받았다는 진술한 점이 있다. 북한 내부에 파병 소식이 암암리에 확산 중인 가운데 파병군 가족들은 '대포밥'(총알받이)이라는 자조와 두려움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사람들은 러시아로부터 지원과 민생 개선을 기대하는 상반된 반응이 관찰됐다"며 "북한 당국이 파병국 가족의 식량과 생필품 등 물질적 보상을 제공한 정황도 포착됐다"고 말했다.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두고는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과거에 북한과 김정은과의 정상회담 성사를 자신의 제1기의 대표적 성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김정은과 대화 추진 가능성이 있다"면서 "단기간 내에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가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에 핵 동결과 군축과 같은 작은 규모 협상, 스몰딜 형태도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또 "트럼프 1기 때처럼 북한 인권 문제는 소극적으로 볼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우리 정부는 대한민국을 배제한 일방적인 북핵 거래 소지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