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자가 바라보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주택사업자가 바라보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정부의 대출 규제와 탄핵정국 등에 얽인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가중돼 주택사업자가 바라보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월대비 14.1포인트 떨어진 61.6이다.

해당 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주택사업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강원과 충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떨어졌는데 이 가운데 대구가 40.3포인트(88.4→ 48.1)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수도권은 12.5포인트 하락한 65.9로 전망됐다. 서울이 16.3포인트로 수도권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이며 76.7로 전망됐고, 경기는 12.5포인트 하락(77.5→ 65.0), 인천은 8.5포인트(64.7→ 56.2) 떨어졌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함께 최근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부동산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사업자들이 전망하는 사업경기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비수도권은 14.6포인트 하락한 60.6, 광역시는 25.5포인트 떨어진 57.1, 도는 6.4포인트 하락한 63.2로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는 대구가 40.3포인트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광역시권은 ▲대구 40.3포인트(88.4→ 48.1) ▲대전 25.4포인트(80.9→ 55.5) ▲세종 24.6포인트(93.3→ 68.7) ▲부산 22.8포인트(70.8→ 48.0) ▲울산 21.2p(82.3→ 61.1) ▲광주 18.9포인트(80.0→ 61.1) 순으로 하락했다.

도는 ▲경남 25.7포인트(81.2→ 55.5) ▲경북 18.5포인트(78.5→ 60.0) ▲전북 14.3포인트(71.4→ 57.1) ▲전남 10.9포인트(64.2→ 53.3) ▲제주 7.3포인트(68.4→ 61.1) ▲충남 3.6포인트(75.0→ 71.4) 순으로 떨어졌다.

충북과 강원은 9.1포인트(63.6→ 72.7), 20.5포인트(54.5 →75.0)로 각각 상승 전망됐다.

비수도권 주택시장은 하반기 들어 매매가격과 거래량이 둔화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대비 2.9포인트 하락한 68.1로 전망됐고 자재수급지수는 6.0포인트 떨어진 87.8로 전망됐다.

자금조달지수는 금융규제 강화 기조가 지속해서 유지되면서 분양시장이 침체되고 사업자의 비용 회수에 어려움이 예상돼 금융권의 신규 대출이 제한되면서 사업자들의 전망이 부정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자재수급지수는 내수경기 악화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으로 인해 자재수급에 어려움이 예상돼 사업자들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