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내림세가 이어지며 하락거래 비중도 전체의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아파트값 내림세가 이어지며 하락거래 비중도 전체의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부동산 거래시장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아파트 가격 역시 하락거래가 늘며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거래 가운데 전국 44.9%는 종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하락거래 비중은 지난해 8월부터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해 2024년 11월에는 상승거래 비중과 비교해 하락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졌다.

권역별 상승하락거래 비중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하락거래 비중이 2024년 12월 43.4%로 집계되며 상승거래 비중보다 높아졌고 올 1월 들어서도 43.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높지만 경기와 인천 아파트 거래가격은 약세를 보이면서 수도권 하락거래 비중을 높였다.

서울은 금천구(66.7%), 노원구(55.7%)에서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구축 중소형 면적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거래가격은 종전 가격보다 낮았다.


경기에서는 성남시 수정구(61.5%), 이천시(61.1%), 안산시 상록구(61.0%), 동두천시(60.0%), 의왕시(55.9%), 용인시 처인구(51.8%), 의정부시(50.8%), 파주시(50.4%), 고양시 일산동구(50.0%)가 1월 아파트 거래의 절반 이상이 종전 거래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인천은 중구(52.8%), 남동구(51.6%)의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고 연수구도 49.3%로 절반에 육박하는 거래가 종전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팔렸다.

지방광역 시·도는 지난해 11월 하락거래 비중이 44.8%를 차지하며 상승거래 비중(42.7%)보다 높아졌고 올 1월 하락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45.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대전 49.2% ▲제주 49.0% ▲부산 47.1% ▲대구 46.3% ▲충북 46.3% ▲충남 46.1% ▲경북 46.0% ▲강원 45.9% ▲경남 45.2% ▲전북 45.2% ▲전남 44.4% ▲세종 44.3% ▲광주 43.8% ▲울산 41.7% 순으로 하락거래 비중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