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관망 모드인 K바이오… 실현 가능성은 '글쎄'
약가 상승 불가피… 되레 미국 부담 가중
현지에선 관세 반대 목소리도 등장
김동욱 기자
1,952
공유하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장벽 정책이 국내 바이오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업계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가 확정될 때까지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실제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12일(현지시각)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에 최근 서명했다. 관세를 높여 미국 내 철강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자국의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번 조치로 한국은 기존에 적용받던 대(對)미 철강 수출 물량 중 263만톤에 대한 무관세 혜택을 잃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등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검토할 방침이다. 국내 바이오 업체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장벽 정책을 주목하고 있는 배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자동차와 의약품, 반도체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 여부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 부과를 강행할 경우 삼성바이오에피스·셀트리온 등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들의 불이익이 예상된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30%가량 저렴한 게 장점인데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어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은 각각 바이오시밀러 8종, 5종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고 현지 사업을 늘리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은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만큼 일단 상황을 주시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으로 (관련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의약품 관세) 실제 시행 여부는 추가적인 검토와 정책적 관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 약가 인하 정책을 내세웠는데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약가 상승이 불가피한 탓이다. 약가 상승 시 미국인의 의료비용이 커지고 미국 의료 시스템에 부담이 강해지면서 자국 내 반발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현지에서는 이미 의약품 관세 부과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로비 단체인 접근가능의약품협회(AAM)는 저가 의약품 제조업체들이 직면한 마진 부족 등을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에 의약품 관세 면제를 요청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미국 내 병원 및 제약업계의 우려에도 미국이 실제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지, 부과한다면 어느 정도로 할지, 대상은 어떻게 될지 등을 모두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