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업의 임금 수준이 일본 및 유럽연합(EU) 20개국 중 5위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와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임금 인상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한·일·유럽연합(EU) 개별국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 비교.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 대기업의 임금 수준이 일본 및 유럽연합(EU) 20개국 중 5위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와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임금 인상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한·일·유럽연합(EU) 개별국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 비교.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 대기업의 1인당 평균 임금 수준이 일본 및 유럽연합(EU) 중요 20개국 중 5위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 성장 동력이 악화하고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임금 인상 지속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지난 16일 '한·일·EU 기업 규모별 임금 수준 국제 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구매력평가환율 기준으로 한국 대기업의 임금 수준은 22개국(한국, 일본, EU 20개국) 중 다섯번 째였다.

한국 대기업의 1인당 평균 연봉은(초과급여 제외)은 8만7130달러(1억2578만원)로 집계됐다. EU 20개국 대기업 1인 평균인 8만536달러(1억1626만원)보다 8.2% 높았다. 일본 대기업(5만6987달러)과 비교하면 52.9% 높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은 한국이 156.9%이었다. EU 평균(134.7%)과 일본(120.8%)을 각각 22.2%포인트, 36.1%포인트 초과했다. 분석 대상 22개국 중에서는 그리스(166.7%), 프랑스(16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20년간 한국 대기업 임금 인상률은 157.6%(2741만 원→7061만 원)로 EU 대기업과(84.7%, 2만7065유로→4만9987유로) 및 일본 대기업(-6.8%, 580만5000엔→541만 엔)의 평균 인상률을 크게 웃돌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한국 대기업의 임금이 일본보다 월등히 높고, EU 국가들과 비교해도 최상위권에 있는 것은 연공형 임금 체계와 강력한 노조로 인해 생산성을 초과한 일률적 임금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기업의 성장 동력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생산성 없는 임금 인상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직무와 성과 기반의 임금 체계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