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기업회생 논란이 불거지면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책임론이 거론된다. /사진=뉴시스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기업회생 논란이 불거지면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책임론이 거론된다. /사진=뉴시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기업회생에 나서며 모럴해저드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정치권에서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여야는 한목소리로 홈플러스의 최대 주주인 김병주 MBK 회장이 사태에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정문 민주당 의원은 1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오늘 개회되는 정무위원회의 증인 출석 요구에 응하고, 국민 앞에 나와 답할 것을 촉구한다"며 "책임 있는 경영을 주장한 MBK가 이번 사태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철저히 따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라 사모펀드의 먹튀 자본 폐해"라며 "MBK파트너스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기 이익 회수에만 집중한 결과, 홈플러스가 유통업체로서의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비판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에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이 의원은 "정부와 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를 방관한 것이 아닌지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며 "MBK가 한국 사회에서 기업을 단순한 수익 창출 도구로 악용한 과정과 그로 인해 발생한 피해를 사회적 책임으로 돌릴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한국경제가 사모펀드의 먹잇감이 되는 것을 방관할 수 없다"며 제도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여당 측도 이번 홈플러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김 회장에 대한 증인 채택 건에 합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6,7%의 높은 금리로 투자자를 끌어들인 홈플러스의 무담보 CP와 전단채는 사실상 휴지조각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문제는 현재 정확한 피해금액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고 이야기했다.

김 위원은 "금감원을 비롯한 금융당국과 사법당국에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의 사기성 채권발행 의혹에 대해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와 수사에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며 "국회 역시 다음주 화요일로 예정된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사태' 현안질의 등을 통해 진상규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또한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 경영권 장악을 시도하고 있는데, 부도덕한 투자자본에 국가기간산업이 넘어가지 않도록 면밀히 살피겠다"고 다짐했다.

하태경 보험연수원장(전 국민의힘 국회의원)도 이날 자신의 SNS에 "홈플러스의 실적 부진과 점포 매각으로 재무상태가 악화된 것을 MBK는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며 "2월28일 치명적 신용등급 급락 직전인 25일에도 어음 발행이 지속됐다"고 밝혔다. 이어 "MBK의 행위가 사기라면 동양그룹 대표처럼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며 "검찰은 금융사기 즉각 수사에 나서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