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구 아파트단지 모습./사진=뉴스1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구 아파트단지 모습./사진=뉴스1


지난달 가계대출이 4조3000억원 증가하면서 1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만큼 주택시장 상황과 가계대출 추이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 중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3000억원 늘었다고 12일 밝혔다. 전월 9000억원 감소에서 1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5조원 늘어 전월 3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은 3조5000억원으로 전월대비 증가폭이 확대됐고 제2금융권은 1조5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을 유지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지만 전월(-4조1000억원)과 비교해 감소 폭이 줄었다. 지난 1월 1조5000억원이 감소한 신용대출이 2월 들어 1000억원 늘어난 점 등에 기인한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3000억원 늘어 전원 감소세(-5000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디딤돌·버팀목·보금자리론 등 정책성대출은 2조9000억원 늘어 전월(2조2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커졌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원 늘며 전월(-6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2금융권의 가계대출도 1조원 오르며 전월(-5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호금융권(-1000억→8000억원), 여전사(-1000억→3000억원)는 늘었고, 저축은행(2000억→-200억원)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2월 가계대출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 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