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박근혜, '헌정파괴' 윤 대통령과 전혀 다른 분"
김유림 기자
공유하기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현재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비교하며 "개인의 부정부패 문제와 국가의 헌정 질서를 통째로 파괴하는 행위는 차원이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2일 이 대표는 채널A 유튜브 '정치시그널 나이트'에 출연해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이 문재인 대통령 시기 집권기에 굉장히 많은 문제를 안겼다는 사실을 느끼냐'는 보수 논객 정규재 씨의 질문에 "거기(윤 대통령)와 비교하니 (박 전 대통령은) 전혀 다른 분"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보수 진영에서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저희는 (사법부의) 공식 결정에 따라 판단할 수밖에 없는데 (박 전 대통령이) 무언가를 파괴한 건 아니고 누군가의 부정 행위를 방치, 묵인, 동조했다는 정도다. 그것도 대통령으로서 책임져야 할 일이라는 게 당시의 결론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 당 주요 인사도 (박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따져보자고 했다"라며 "당내에서도 빈말이거나 전혀 근거 없는 헛소리처럼 보이지 않는다. 한 번 검증은 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다가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 집권 시 견제 세력이 없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윤석열 정권과) 똑같이 할 거냐. 최소한 이렇게는 하지 않는다"라며 "행정권한을 갖고 있고, 입법 권한도 갖고 있는데 뭐 하러 무리하냐"고 말했다. 이어 "야당도 되지도 않을 것을 뭐 하러 극렬하게 (반대)하겠나. 타협하고 양보하면 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향후 진영이 갈라진 상황에서 자신이 정치 보복을 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을 두고는 "그렇게 하면 행복하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그는 "할 일이 태산같이 많은데 그렇게 뒤져서 누구를 표적 삼아 괴롭히는 게 취미가 아니고 즐겁지도 않은데 거기에 미련을 갖는 시간도 아깝다고 생각한다"며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최소한 지금 마음은 그렇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탄핵 국면 이후 정치 지형 재편과 함께 언급을 삼가던 개헌 필요도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촛불혁명 이후 혼란이 있을 때 개헌도 해야 했고, 세력 재편도 해서 합리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 진영이 경쟁하는 시스템으로 갔으면 얼마나 좋았겠냐"며 "그 기회를 놓쳤다. 이번에는 그 기회를 잃지 말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