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네이버 이해진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GIO)글로벌투자책임자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하며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하며 "AI(인공지능) 시대에도 네이버의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정면 경쟁 속에서도 네이버만의 기술과 철학을 지켜가는 '소버린 AI' 전략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26일 경기 성남시 소재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제2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해진 창업자는 사내이사로 선임되며 공식적으로 이사회에 복귀했다. 이는 2017년 경영 전면에서 물러난 지 7년 만으로 글로벌 투자 책임을 맡았던 GIO(글로벌투자책임자) 자리에서도 물러나 이사회 체제로 전환한 첫 공식 행보다.

주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창업자는 "AI 시대를 맞이하는 네이버의 기본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회사 내 여러 보직을 내려놓고 이사회 역할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그동안은 항상 내부에 일정한 역할이 있었는데 이렇게 완전히 빠지는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지금 회사에는 좋은 젊은 경영진과 기술자들이 많다"며 "이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뒤에서 응원하고 지원하는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창업자는 이날 발언에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네이버만의 기술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겠다는 이른바 '소버린 AI' 전략을 재확인했다. 사진은 이날 이해진 창업자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이 창업자는 이날 발언에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네이버만의 기술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겠다는 이른바 '소버린 AI' 전략을 재확인했다. 사진은 이날 이해진 창업자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네이버는 지난해 사상 첫 연매출 10조원을 돌파하며 외형적 성장을 이뤄냈지만 내부에선 AI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전략 정비라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이해진 창업자의 이사회 복귀를 두고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AI 경쟁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창업자의 역할 강화로 해석하고 있다. AI를 둘러싼 글로벌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창업자가 다시 전면에 나서 브랜드 철학과 기술 방향을 재정립하려는 의도로 분석한다.

실제로 이 창업자는 이날 발언에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네이버만의 기술 독립성과 주권을 지키겠다는 이른바 '소버린 AI' 전략을 재확인했다. 그는 "협업할 일이 있다면 해야 한다. 엔비디아 같은 기업들과도 다양한 협력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저희만의 검색엔진, 저희만의 기술은 이 세상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창업자는 또 "네이버는 구글 같은 빅테크에 맞서 25년을 견디며 살아왔고 늘 어려웠다"며 "그들과 정면승부를 할 수는 없었지만, 모바일 시절 해외에 진출했듯 AI 시대에도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도 몇 가지 아이디어와 전략을 내부에서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앞으로 새로운 움직임들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생성형 AI의 부상으로 기존 검색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창업자는 "검색의 시대가 저문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확장되고 커지고 있다고 본다"며 "전 세계가 단 몇 개의 검색엔진과 몇 개의 AI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매우 슬픈 일"이라고 지적했다. "인터넷의 다양성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네이버는 그 다양성에 기여하는 회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진 창업자는 이날 최수연 대표 체제에 대한 신뢰도 거듭 드러냈다. 그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비롯한 신진 리더십은 AI 시대를 살아갈 지금과 다음 세대의 이용자들에게 최고의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며 "이들이 언제나처럼 이용자와 기술을 중심에 두고 과감하게 시도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